참고 :
https://www.youtube.com/watch?v=R51tf66es9w
https://docs.arduino.cc/arduino-cloud/getting-started/esp-32-cloud
ESP32를 컴퓨터가 인지하기 위해서는 보드를 BootLoader 모드로 전환한 다음에 기본 Blink.ino가 컴파일이 잘 되는지 확인해본다.
(위 사진은 잘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 추후 Arduino Editor에서 .ino로 컴파일하기 때문에 c/c++로 컴파일하도록 먼저 지정한다.
디바이스(ESP32Nano)를 지정하도록한다.
이때 arduino agent가 필요하다. 나는 이것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esp32가 iot cloud에 감지가 되지 않았다. 여러차례 arduino agent를 다시 키고 설치해야하는 usb인식 드라이버를 모두 설치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agent가 제 일을 하지 못한다.
*** device당 secret key가 있어야 things에서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하다.
사실상 esp32 디바이스가 컴퓨터에 인식 되고 이를 Arudino IoT device에 연결만 되면 나머지(thing, dashboard)는 모두 편해진다.
things에 등록 된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당 Secret ID필요)를 지정한 후 sketch에 자신이 필요한 기능 코딩한다. 여기서 Cloud Variables는 우리가 모니터링할 변수를 지정해주는 것이다.
여기서 loop부분의 //Your code here 아래에 내가 코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