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시 1번
const user = {
name: 'daldaro',
age: 95,
email: example@gmail.com
}
const {name: 'DALDARO', age, email, address = 'Korea'} = user // 구조분해할당
// address 값을 기본값을 지정해줄수있음 (korea)
// 하지만 const user에 address에 존재한다면 기본값은 무시되고 const 안의 값으로 실행됨
// = 는 기본값 : 는 변수로 지정(아래에서 지정한 값으로 나옴) 근데 console 할때 DALDARO 를 쳐줘야함 name 치면 에러남
console.log(`사용자의 이름은 ${name} 입니다.`) // error
console.log(`사용자의 이름은 ${DALDARO} 입니다.`) // 잘나옴
예시 2번
const fruits = ['Apple', 'Banana', 'Cherry']
const [a, b, c, d] = fruits // 구조분해할당, 배열데이터는 [] 이고 객체는 {} 주의
console.log(a, b, c, d) // Apple Banana Cherry undefined
const [, , c] = fruits // 원하는 값만 출력
console.log(c) // Bana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