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else
if else
조건의 결과 (truthy, falsy) 에 따라 다른 코드를 실행하는 구문
if 문을 사용해서 어떤 일이 일어났을 때 그 다음에 무슨 일을 할지 결정할 때 사용된다.
// 변수 선언
let isShow = true;
let checked = false;
if (isShow) {
console.log('Show!'); // 결과가 true 라서 Show! 라고 실행됨
}
if (checked) {
console.log('Checked!') // 결과가 false 라서 결과가 실행되지 않음
}
// 변수 선언
let isShow = true;
if (isShow) {
console.log('Show!'); // true 라서 show! 가 출력됨, 만약에 isShow = false 로 표기했을 경우 Hide?가 실행됨
} else {
console.log('Hide?';
}
if (a === 0) {
console.log('a is 0')
} else if (a === 2) {
console.log ('a is 2')
} else {
console.log ('rest...') // 그 외 나머지 값
}
//랜덤값 부여
function random() {
return Math.floor(Math.random() * 10)
}
//switch문
switch (a) {
case 0:
console.log('a is 0');
break
case 2:
console.log ('a is 2');
break
default:
console.log ('rest...') // 그 외 나머지 값
}
int 과일번호 = 2;
switch(과일번호) {
case 1:
cout << "사과";
break;
case 2:
cout << "바나나";
break;
case 3:
cout << "딸기";
break;
default:
cout << "알 수 없는 과일";
}
int 과일번호 = 2;
bool isRed = true;
if (과일번호 == 1 && isRed) {
cout << "빨간 사과를 골랐어";
} else if (과일번호 == 2) {
cout << "바나나를 골랐어";
} else if (과일번호 == 3) {
cout << "딸기를 골랐어";
} else {
cout << "알 수 없는 과일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