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A Button
(Call-to-action)
사용자의 반응 또는 행동을 유도하는 요소
이미지를 거의 사용할 수 없고 한 문장 정도의 짧은 문구만으로 클릭을 유도해내야 하는 버튼
Ex)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다운로드, 장바구니 넣기 등 목표 전환을 이끌어내기 위해 배치한 버튼, 배너, 링크 등
- 눈에 띄는 컬러 선택
- 유저 중심의 문구
- 추가 정보를 제공하여 유저의 걱정을 덜어주기
- 누가 봐도 버튼인 디자인을 사용
- 많은 버튼을 한 자리에 모아두지 않기
- 모바일 노출 화면을 꼭 확인하기
커리어 컨설팅
도움이 되었는지는 잘 모르겠다. 본인의 장단점을 알고 선택은 본인이 해야한다고 말씀하셨는데, 이미 원하는 것이 명확하다면서 더 이상 얘기하고 싶지 않으신 것 같다.
Figma 활용법(1) 3~4주차 수강
분기점(Break point) -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따라 각각 다른 화면을 보여주기 위한 기준점
가로가 1024px 이상 : 데스크탑 화면
가로가 768px 이상 1024px 미만 : 태블릿 화면
가로가 768px 미만 : 모바일 화면
모바일 최소 가로 사이즈를 정해주는 것이 좋다(레이아웃이 깨지기 때문)
Layout Grid
12column Grid : 12개인 이유는?
모바일 4개, 태블릿 8개, 데스크톱에서는 12개로 사용하며 12개가 일반적인 기둥으로 자리잡음
Unit : 실제 콘텐츠를 정렬하는 기준선
Guutter : 유닛과 유닛 사이의 애백
맨 양 끝의 칼럼에는 Gutter의 절반이 남는데, 좌우 여백으로 사용
8point Grid
간격이나 크기를 8배수로 맞추는 것
반응형(Resposive)과 적응형 디자인(Adaptive)
반응형 - 해상도의 변화에 실시간으로 반응
적응형 - 해상도가 변해도 반응하지 않음
-UI키트 와 디자인시스템, 파운데이션
Semantic Color
사용 목적이나 UI에 따라 색상 이름을 부여하는 방식
Primary, Secondary, Tertiary color 정하고 10단계의 명도단계 생성
Affordance
행동 유도성
디자인카타 시간에 레퍼런스 인사이트를 공유했는데 예상 외로 다양한 시각에서 다양한 의견들이 나와서 놀랐다. 레퍼런스를 보는 안목을 기를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