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 주차 요금 계산(2022 카카오 블라인드 채용)**

dobyming·2023년 2월 4일
0

문제 설명

주차장의 요금표와 차량이 들어오고(입차) 나간(출차) 기록이 주어졌을 때, 차량별로 주차 요금을 계산하려고 합니다. 아래는 하나의 예시를 나타냅니다.

  • 요금표
기본 시간(분)기본 요금(원)단위 시간(분)단위 요금(원)
180500010600
  • 입/출차 기록
시각(시:분)차량 번호내역
05:345961입차
06:000000입차
06:340000출차
07:595961출차
07:590148입차
18:590000입차
19:090148출차
22:595961입차
23:005961출차
  • 자동차별 주차 요금
차량 번호누적 주차 시간(분)주차 요금(원)
000034 + 300 = 3345000 + ⌈(334 - 180) / 10⌉ x 600 = 14600
01486705000 +⌈(670 - 180) / 10⌉x 600 = 34400
5961145 + 1 = 1465000
  • 어떤 차량이 입차된 후에 출차된 내역이 없다면, 23: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 0000번 차량은 18:59에 입차된 이후, 출차된 내역이 없습니다. 따라서, 23: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 00:00부터 23:59까지의 입/출차 내역을 바탕으로 차량별 누적 주차 시간을 계산하여 요금을 일괄로 정산합니다.
  • 누적 주차 시간이 기본 시간이하라면, 기본 요금을 청구합니다.
  • 누적 주차 시간이 기본 시간을 초과하면, 기본 요금에 더해서, 초과한 시간에 대해서 단위 시간 마다 단위 요금을 청구합니다.
    • 초과한 시간이 단위 시간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 올림합니다.
    • a : a보다 작지 않은 최소의 정수를 의미합니다. 즉, 올림을 의미합니다.

주차 요금을 나타내는 정수 배열 fees, 자동차의 입/출차 내역을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recor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차량 번호가 작은 자동차부터 청구할 주차 요금을 차례대로 정수 배열에 담아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fees의 길이 = 4
    • fees[0] = 기본 시간(분)
    • 1 ≤ fees[0] ≤ 1,439
    • fees[1] = 기본 요금(원)
    • 0 ≤ fees[1] ≤ 100,000
    • fees[2] = 단위 시간(분)
    • 1 ≤ fees[2] ≤ 1,439
    • fees[3] = 단위 요금(원)
    • 1 ≤ fees[3] ≤ 10,000
  • 1 ≤ records의 길이 ≤ 1,000
    • records의 각 원소는 "시각 차량번호 내역" 형식의 문자열입니다.
    • 시각차량번호내역은 하나의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시각은 차량이 입차되거나 출차된 시각을 나타내며, HH:MM 형식의 길이 5인 문자열입니다.
      • HH:MM은 00:00부터 23:59까지 주어집니다.
      • 잘못된 시각("25:22", "09:65" 등)은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차량번호는 자동차를 구분하기 위한, `0'~'9'로 구성된 길이 4인 문자열입니다.
    • 내역은 길이 2 또는 3인 문자열로, IN 또는 OUT입니다. IN은 입차를, OUT은 출차를 의미합니다.
    • records의 원소들은 시각을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주어집니다.
    • records는 하루 동안의 입/출차된 기록만 담고 있으며, 입차된 차량이 다음날 출차되는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같은 시각에, 같은 차량번호의 내역이 2번 이상 나타내지 않습니다.
    • 마지막 시각(23:59)에 입차되는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아래의 예를 포함하여, 잘못된 입력은 주어지지 않습니다.
      • 주차장에 없는 차량이 출차되는 경우
      • 주차장에 이미 있는 차량(차량번호가 같은 차량)이 다시 입차되는 경우

입출력 예

feesrecordsresult
[180, 5000, 10, 600]["05:34 5961 IN", "06:00 0000 IN", "06:34 0000 OUT", "07:59 5961 OUT", "07:59 0148 IN", "18:59 0000 IN", "19:09 0148 OUT", "22:59 5961 IN", "23:00 5961 OUT"][14600, 34400, 5000]
[120, 0, 60, 591]["16:00 3961 IN","16:00 0202 IN","18:00 3961 OUT","18:00 0202 OUT","23:58 3961 IN"][0, 591]
[1, 461, 1, 10]["00:00 1234 IN"][14841]

내 코드

import math

def Minutes(date):
    h,m = map(int,date.split(":"))
    return h*60 + m

def solution(fees, records):
    answer = []
    p_dict = {} # 차번호 기준
    records.sort(key=lambda x:x.split(' ')[1]) #작은 차번호순 정렬
    
    for rec in records:
        rec = rec.split(' ')
        if rec[1] in p_dict:
            p_dict[rec[1]].append([Minutes(rec[0]),rec[2]])
        else:
            p_dict[rec[1]] = [[Minutes(rec[0]),rec[2]]]
            
    p_list = list(p_dict.items())
    
    for parking in p_list:
        time = 0
        for p in parking[1]:
            if p[1] == 'IN':
                time -= p[0]
            else:
                time += p[0]
                
        if parking[1][-1][1] == 'IN': #OUT으로 안끝나고 IN으로 끝날때
            time += Minutes('23:59')
        
        real_fee = 0
        if time <= fees[0]:
            answer.append(fees[1])
        else:
            real_fee = fees[1] + math.ceil((time - fees[0]) / fees[2])*fees[3]
            answer.append(real_fee)
            
    return answer

아이디어

사실 알고리즘적으로 어려운 문제라기 보다는 구현하는데 있어서 좀 까다로운 문제였다.

1. 시간 계산

카카오는 시간과 관련하여 계산하는 문제를 자주 출제하는것 같다.

해당 시간 계산과 같은 경우는
total 분 = h*60 + m 을 함수로 빼서 handle 해줬다.

2. dict 활용

어떤 고유한 값을 기준으로 값을 저장해야 되는 상황에서는 dict를 써야하는게 떠올랐다. 하지만 문제는 차번호를 key로 두는것 까지는 알겠는데 value를 어떤 형식으로 저장해야되는지가 난관이었다.

key에 해당하는 value로 하나만 저장하게 된다면 어느 상황에서든 문제가 풀리지 않던 도중에, value로 list에 값을 담아 할당하는것으로 방향성을 잡았다.

p_dict = { 차 번호 : [[hh:mm,IN],[hh:mm,OUT]] }

이런식으로 차번호가 dict에 있다면 value배열에 append하는 방식이다.

3. 시간 계산

시간 계산에선 IN만 있고, 출차기록이 없는 경우에는
배열의 끝자리가 IN으로 끝날경우면 23:59분 에서 IN했던 시간을 빼주는 방식으로 로직을 구현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