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com/kelseyhightower/kubernetes-the-hard-way
첫 쿠버네티스를 접할 때 kubernetes the hard way를 통해 어떻게 설치하고 작동하는지 알아봤습니다.
kubernetes 1.30 나온 기념으로 복습도 할 겸 다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kubernetes the hard way는 kubernetes를 어렵게 세팅하는 방법입니다. 자동으로 구성해주는 kubeamd, kubespray 없이 오로지 kubernetes cluster를 구성하는데 있어 각 작업에 대해 이해하는겁니다.
Kubernetes the hard way는 kelseyhightower 님이 작성한 글 기반으로 저만의 내용으로 다시 정리하려고 합니다.
위 컴포넌트들을 통해서 kubernetes control-plane 1대, Worker node 2대를 세팅해 진행할 예정입니다.
Name | IP | spec | describe |
---|---|---|---|
jumpbox | 10.0.35.177 | 4core, 8GB, 50GB | kubernetes 관리 |
controlplane-1 | 10.0.35.207 | 4core, 8GB, 50GB | kubernetes controlplane(master) |
node-1 | 10.0.34.93 | 4core, 8GB, 50GB | kubernetes worker node |
node-2 | 10.0.32.237 | 4core, 8GB, 50GB | kubernetes woker node |
다른분들도 참고해서 kubernetes the hard way를 따라 해보고 싶으시면, kubernetes 최소 스펙으로 진행 하셔도 지장은 없습니다. 특히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 진행하면 좀 더 수월하실 겁니다.
Lab 순서는 깃헙 게시글과 동일하게 진행 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