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무난한 내용이었다..
발표를 들을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다들 너무 대단하신 것 같다..
많이 배우는 중!!! 나는 아직 부족하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네이버카페가 중고나라,후루츠패밀리 처럼
거래를 하는 카페들이기때문에 해당 카페들을 생각해서 흐름도를 구상했다.
백엔드 - 프론트엔드 -> API로 통신
서비스 흐름도는 사용자 중심의 시각화 방법
사용자 유형에 따라 요청 흐름을 구분한다. (목표시스템 구성도에서 안했던 것을 여기서 진행)
모놀리식 VS MSA방식 - 스타트업이나 작은 조직이라면 전통적인 모놀리식으로 하고 점차 발전시키는 것이 합리적임! 다만 모놀리식은 하나의 수정이 전체 시스템 오류로 연결될 위험이 있으나 MSA는 일부 서비스 오류가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가급적 DB로 연결되는 선을 적게해서 책임소재를 명확하게 구분해야한다.
Message Queue - 서버 내부에서 메세지를 비동기로 전달하는 통신 방식
동기 - push 알림을 받을 수 없음, 계속 요청하고 응답받는것 (결합도 높음)
비동기 - 그냥 이벤트 발생하면 알려줌 (결합도 낮음)
Kafka - 기본적으로 3대의 서버가 필요함
모든 서버들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고 kafka가 메세시큐의 역할을 하고 데이터를 보내줌
근데 kafka가 고장나버리면?
SPOF라서 큰일이기때문에 3대의 kafka를 준비 (따라서 대규모일때 kafka사용)
API 설계 - 다른 도메인에 있는 데이터는 API 요청을 통해 처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