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의 윈도우컴도 회사의 맥도 다 3.9로 설치돼있어서 강의에서 권장하는 3.8.6버전을 설치했다.(윈도우기준, 강의에 첨부된 링크는 누르면 바로 3.8.6버전이 다운로드 됐다. 일반적으로는 아래 링크에서 파이썬을 다운받을 수 있다.)
(https://www.python.org/downloads/)
윈도우에 python 3.8.6을 설치하고 파이참PyCharm에서 프로젝트를 3.8버전으로 생성했다.
mongoDB Community Server를 윈도우용으로 다운받아서 설치했고, 설치시 경로를 강의의 안내에 따라 C:/data/db 라는 폴더를 만들어서 그쪽으로 지정해줬다.
(인스톨 과정에서 Install MongoDB Compass는 선택돼있는 걸 체크해제 해줬다.)
이후 윈도우 검색 -> "시스템 환경 변수 편집" -> 환경변수 -> 아래쪽 시스템변수에서 Path라는 변수를 찾아 '편집' -> "새로 만들기" -> 'C:\data\db\bin' 이라고 써서 추가
윈도우키+R 눌러서 실행창 켜고 cmd 실행하고 아래 명령어를 통해 mongoDB를 실행시켜준다.(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것뿐으로, 뭔가 창이 뜬다거나 그러한 일은 없기 때문에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은 것처럼 보입니다.)
mongod --install --serviceName MongoDB --serviceDisplayName MongoDB --dbpath C:\data\db --logpath C:\data\db\log\mongoservice.log --logappend
이전엔 MySQL DB를 거의 phpMyAdmin으로만 접근, 관리했었고, 이번 회사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업무를 위해 TablePlus라는 프로그램을 쓴다.
Robo3T는 MongoDB 용 DB관리툴이다. DB에 어떤 정보들이 어떻게 저장돼있는지 예쁘게 보여주고 바로 그 데이터들을 수정하거나 할 수도 있다.
https://robomongo.org/download
왼쪽 Studio 3T 말고 우측의 Robo 3T only로 다운받았다.
확실히 그냥 혼자 "해야지"하고 생각만 했을 땐 실제로 퇴근하고나면 피곤해서 그냥 잠만 잤는데, 날짜별로 목표된 강의가 있고, 온라인으로라도 같이 공부하는 구성원들이 있으니 뭔가를 계속 하게 되는 힘이 있는 것 같다.
스파르타코딩클럽 3주차 강의, 파이썬 및 mongoDB를 들었다.
파이썬 잠깐 문법을 본 적은 있지만 웹쪽 작업을 해본 적은 없고, mongoDB 역시 말만 들었지 한번도 본 적 없다.
MySQL, MariaDB 류의 관계형데이터베이스만 써봤고 NoSQL은 처음이었고 mongoDB가 NoSQL이란 것도 처음 알았고 NoSQL이 SQL과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설명도 처음 들었다. (최근 회사에서 일래스틱 서치 Elastic Search 도입을 위한 공부를 시작했는데, 관계형데이터베이스와 다른 형태구나라고 생각했는데 NoSQL을 미리 배웠었으면 좀 더 친숙했을지도 몰랐겠단 생각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