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시간엔 표를 만들었으니 이제는 표 안에 데이터를 넣어보자!

해당 데이터를 테이블에 넣어보자!
INSERT INTO 테이블명(컬럼명, 컬럼명, 컬럼명, ..)
VALUES (값1, 값2, 값3, ...);
위와 같은 형식을 이용해서, topic테이블에도 데이터를 넣어보자!
INSERT INTO topic(id, title, description, created)
VALUES (1,'ORACLE','ORACLE is ...', SYSDATE);
INSERT INTO topic(id, title, description, created)
VALUES (2,'MySQL','MySQL is ...', SYSDATE);
INSERT INTO topic(id, title, description, created)
VALUES (3,'SQL Server','SQL Server is ...', SYSDATE);
우리가 created를 DATE타입으로 줬기 때문에, 시간을 의미하는 SYSDATE(현재 시간)을 일단 해주자.


만들어졌으면 다행이다!!

잊지말고 commit을 하자. DML은 AUTO COMMIT이 아니니까!


이전 시간에 코드를 통해 표를 추가하고, 이번에는 행을 추가했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명령어를 통해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자동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이러한 명령어를 SQL이라고 한다.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를 뜻하고,
구조화된 정보를 처리하도록 요청하는 컴퓨터 언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