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직접 작성한 콘솔 프로젝트의 예시 코드를 바탕으로, Java에서 JDBC로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는 방법과 안전한 구현 패턴을 정리한다. 사용 DB는 MariaDB이며, 다른 JDBC 드라이버로도 원리는 동일하다.JDBC는 Java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베이스에

Statement객체 : 실제 DB에 SQL 쿼리문을 보내기 위해 필요한 객체Statement 객체에서 자주 사용되는 메소드객체 생성 방법JDBC 연결인 Connection 안의 메소드인 createStatement()로 생성 가능Connection에서 접속한 DB에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는 자바 프로그램이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표준 인터페이스(규약)이다. 쉽게 말해, 자바와 DB의 통역사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키워드 DB 드러이버 등록 + Connection 생성 담당역할

실습 암기노트chap03-dynamic-sql-lecture상황(조건)에 따라 SQL 조각을 붙였다가 떼었다가 하는 기능이라고 보면 된다.DAO 메서드를 여러개 만들지 않고, 한 SQL을 조건에 따라 재사용하기 위함이다.역할test 조건이 참일 때만 해당 SQL 구문

키워드JdbcTransactionFactory : 수동 commit (권장)ManagedTransactionFactory : 컨테이너/서버가 트랜잭션 관리PooledDataSource : 커넥션 풀 사용UnpooledDataSource : 매번 새 커넥션 생성역할Env

Servelt = Server + Applet자바로 작성된 서버 측 프로그램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하는 클래스웹에서 동적인 페이지를 JAVA로 구현한 서버 프로그램으로 이해할 수 있음Tomcat 서블릿 API:https&

Servlet을 처음 배우면 doGet, doPost, forward, redirect,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가 한꺼번에 튀어나와서 헷갈리기 쉽다.브라우저가 요청 정보를 HTTP 메시지에 담아 서버로 전송한다.실제로는

HTTP의 Stateless 문제를 해결하는 대표 기술 두 가지: Cookie(클라이언트), Session(서버).웹 개발에서 인증·로그인·팝업 유지·장바구니 등 상태 유지 기능의 핵심.무 연결(Connectionless)요청 순간만 연결·응답 직후 바로 끊김무 상태(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이 servlet까지 가기 전, 또는 servlet에서 나온 후에 중간에서 가로채서 공통 작업을 한다고 보면 된다.Request Filter로그인/권한 체크인코딩 설정요청 로그 기록파마미터 값 가공Response Filter

웹 컨테이너(Tomcat) 내부에서 일어나는 이벤트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실행되는 클래스이다.Servlet, Filter는 사용자 요청을 다루지만,Listener는 서버 내부 객체의 생성/소멸·속성 변경을 감시한다.동작 예:웹 애플리케이션이 켜질 때 알림세션이 생성되거나

WAR(Web Application Archive) 구조에서 웹 애플리케이션은 다음과 같은 디렉터리를 가진다:여기서 WEB-INF는 특별한 보호 디렉터리다.가장 중요한 특징:예:Tomcat(웹 컨테이너)이 보안 규약으로 WEB-INF 내부는 외부에서 바로 열리지 못하도

원래 자바 프로그램은 내가 직접:객체를 new 하고의존 객체를 직접 생성해서 넣고언제 버릴지(소멸)까지 결정한다.제어권이 개발자 코드에 있다.IoC는 이 흐름을 반대로 뒤집는다고 생각하면 된다.객체 생성·초기화·연결·소멸, 의존성 관리 같은 걸“프레임워크(컨테이너)가

원래는 개발자가 필요한 객체를 선언해서 사용했지만, 이제는 IOC 컨테이너 에서 객체를 모두 만들어두고 자동으로 연결해줌.결합도 ↓유지보수성 ↑유연성 ↑직접 선언하면 결합도가 높다. 객체를 생성해주고 사용도 하기 때문. DI는 IOC에서 선언해두고, 설정정보를 바탕으로

@Autowired = “이 타입의 Bean 좀 넣어줘”스프링 컨테이너 안에서 타입 기준으로 Bean을 찾아서 주입해 준다.BookService 입장에서 보면“나 BookDAO 필요해요”그러면 컨테이너가 BookDAO 타입 Bean을 찾아 넣어주는 구조.예시 구조:포인
1. Bean 아래 bean의 scope를 예제들을 통해 설명할 것이다. 설명할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걸 “빵, 음료, 장바구니”라고 생각하면 되고,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서 “장바구니를 singleton/prototype으로 만들면 뭐가 다른가”를 보여주는 용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2. Bean Scope (빈이 몇 개나 만들어지냐) “스코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