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lution1
function solution(arr1,arr2){
let answer =[[]]
for(let i =0; i<arr1.length;i++){
answer[i]=[]
for(let j =0;j<arr1[i].length;j++){
answer[i][j] = arr1[i][j]+arr2[i][j]
}
}
return answer
}
solution([[1,2],[2,3]],[[3,4],[5,6]])
solution2
function solution(arr1, arr2) {
//e 는 current value의 element라는 약자로 사용하였다.
return arr1.map((e,i) => arr2[i].map((e,j) => arr1[i][j]+arr2[i][j]))
}
solution([[1, 2],[2, 3],],[[3, 4],[5, 6]]);
화살표 함수의 활용예시:
const solution=(arr1, arr2) => {
//e 는 current value의 element라는 약자로 사용하였다.
return arr1.map((e,i) => arr2[i].map((e,j) => arr1[i][j]+arr2[i][j]))
}
solution([[1, 2],[2, 3],],[[3, 4],[5, 6]]);
여기서 const 를 빼고 solution=()=>{}로 사용하면 function의 역할을 할수있다(ƒ solution())
화살표 함수는 es6에 소개되어 기존에 function(x){return x)의 문법에서
=> 문법으로 function과 return 을 동시해결해 준다
적용안되는 몇가지가 있다고 알고있으나 추후 개발공부 하면서 알아내도록 하겠다.
각각 요소를 한번식 순서대로 들어가 반환값으로 새로운 배열을 만단다, 이 기능이 유용한 이유는 manipulation(조작하지않는다는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