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7일 월요일 (20일차) - 배열 이론ㅇ

@_@·2021년 6월 5일
0

Java 1부

목록 보기
14/27

<목차>
ㅇ 배열
ㅇ 배열의 구조


ㅇ 프로그래밍도 수학 문제 풀 듯이, 반복 반복 익숙 익숙 => 그러면 실력이 늘어




ㅇ 배열

ㅇ 학습목표

ㅇ 배열에 대한 설명들

  • 수열(수가 일정한 규칙으로 나열된 것)과 비슷한 개념
  • 동일한 자료형이 나열되어 있는 형태
  • 1차원으로 나열
  • 자료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
  • 배열은 여러 가지 자료들을 특정 공간 안에 넣어 놓고 사용하는 방법
  •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불러들이기 위해 사용
  • 내가 원하는 데이터 타입을 원하는 개수만큼 묶어서 관리
  • 예) 와인을 가져오라고 할 때
    • 출산지, 메이커, 생산연도 따져서 가져오라고 하면 와인 모르는 사람은 못 가져와
    • 선반 3번째 칸에 2번째 와인 가져와~ 하면 와인 잘 몰라도 가져올 수 있어



ㅇ 배열의 필요성

  • 이름, 주소, 성별, 나이를 코드로 표현하려면 변수 4개 사용해서 한 사람당 4줄씩 만들어야 해
    또 새로운 사람 들어간다면 또 4개 변수 추가돼
    => 데이터 관리하기 힘들어
  • 사람들의 이름을 무작위로 관리하는 게 아니라 학년, 반, 출석번호 매기듯이
  • 데이터를 인덱스를 이용해서 숫자를 매겨서 관리. 데이터를 한 칸 안에 넣어 놓고 번호를 통해 관리





ㅇ 배열이란

(★포인트★)

  • 같은 타입의 자료형만 가능!!
  • 순차적으로 저장
    • 반복문을 활용해서 처리하기에 넘 좋아
      반복문과 배열은 환상의 짝꿍이야
  • 배열 인덱스는 0부터 시작
  • 자바에서는 배열의 길이 고정. 늘리거나 줄일 수 없어 (파이썬은 가변인데)





ㅇ 배열의 구조

  • 변수를 여러 개 선언하면 RAM에 중구난방 만들어져
  • 배열은 따로따로 생기는 게 아니라 순차적으로 생성돼
  • array 안에는 값이 직접 들어가는 게 아니라, 주소를 가지고 있어 = 주소를 참조하고 있어
  • 변수 안에 점으로 표현 - 점이 주소를 가리키고 있다.

CF. 컴퓨터는 기억장치 2가지

  • 하드디스크 : 오래 기억하는 녀석
  • 램 : 짧게 기억하는 녀석
    • 선언한 변수는 RAM에 만들어지고 자바가 그걸 불러서 사용


profile
STEP BY STEP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