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첫 날이다. 2팀으로 배정받았고, 팀원들이랑 잠깐 이야기를 나눌 시간이 있었다. 대부분 공부를 시작한 지 얼마되지 않은 사람들이 많았다. 아무래도 부트캠프다 보니까 그런 것 같다. F-Lab을 했을 때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일단 1~2주차는 10시부터 10시까지 하는 패턴에 익숙해지고, 3주차부터 본격적으로 한다고 생각하고 임하자. (그렇다고 1~2주차를 대충한다는 건 아니다.) 오늘은 대충 아래와 같이 진행했다. 강의는 듣지 않았다.
웹페이지를 리로드하지 않고 비동기적으로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해서 페이지의 일부분만 변경할 수 있는 기술
보통 JSON 형태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IDE란?
head 태그의 역할?
시멘틱 태그란?
input태그의 type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text: 텍스트 입력 필드를 생성합니다. 사용자는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password: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필드로, 입력한 값이 마스킹됩니다.
number: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필드로, 숫자 형식의 값을 받습니다.
email: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는 필드로, 이메일 유효성 검사를 수행합니다.
tel: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필드로, 전화번호 형식을 따르는 값을 받습니다.
date: 날짜를 입력하는 필드로, 달력 형식의 날짜 선택이 가능합니다.
time: 시간을 입력하는 필드로, 시간 형식의 값을 받습니다.
checkbox: 다중 선택이 가능한 체크 박스를 생성합니다.
radio: 단일 선택만 가능한 라디오 버튼을 생성합니다.
file: 파일 업로드 필드로, 사용자는 파일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submit: 폼을 제출하는 버튼을 생성합니다.
reset: 폼의 내용을 초기화하는 버튼을 생성합니다.
button: 사용자 지정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을 생성합니다.
color: 색상 선택 필드로, 색상 선택이 가능합니다.
range: 범위를 나타내는 슬라이더를 생성합니다.
인상적인건 input 태그로 색상도 선택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다른 것들은 잘 알고 있거나, 어렴풋이 알고 있었던 것들인데, color는 이번에 찾아보면서 처음 알게 되었다.
HTML에 CSS를 넣을 수 있는 3가지 방법과 우선순위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link rel="stylesheet" href="test.css" />
<style>
body {
background-color: red;
}
</style>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style="background-color: green"></body>
</html>
body {
background-color: yellow;
}
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해봤을 때, green이 가장 우선적으로 뜨고, 인라인 코드를 삭제하면 red, 스타일 코드도 삭제하면 yel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