덧셈, 뺄셈 수식들이 'X [연산자] Y = Z' 형태로 들어있는 문자열 배열 quiz
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수식이 옳다면 "O"를 틀리다면 "X"를 순서대로 담은 배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quiz | result |
---|---|
["3 - 4 = -3", "5 + 6 = 11"] | ["X", "O"] |
["19 - 6 = 13", "5 + 66 = 71", "5 - 15 = 63", "3 - 1 = 2"] | ["O", "O", "X", "O"] |
더하기, 빼기 수식이 문자열로 표현되어 있고, 각 문자열은 배열의 하나의 요소로서 저장이 되어 있다. 이때 수식이 맞으면 “O”, 틀리면 “X”의 문자로 각 수식의 배열 요소의 위치에 문자를 저장한다.
const quiz = ['3 - 4 = -3', '5 + 6 = 11']
배열의 요소를 ‘-’ ‘+’ ‘=’의 기호와 숫자 부분을 분리해야 하고 분리된 요소 중에 숫자부분은 Number타입으로 변환 기호에 맞춰서 수식을 계산하고 수식이 맞으면 “O” 틀리면 “X”를 새로운 answer 배열에 문자로 저장하는 아주 지극히 직관적인 방법을 생각했다.
이중 for문을 이용해서 배열의 요소마다 요소를 split로 나눈 새로운 배열을 다시 for문으로 돌아서 각 요소에 대해서 수식을 계산하도록 하고 그에 따라 “O”, “X”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function solution(quiz) {
let answer = []
let display = ''
for (let i = 0; i < quiz.length; i++) {
let splitArr = quiz[i].split(' ')
for (let j = 0; j < splitArr.length; j++) {
if (splitArr[j] === '-' || splitArr[j] === '+' || splitArr[j] === '=') {
splitArr[j] = String(splitArr[j])
} else {
splitArr[j] = Number(splitArr[j])
}
}
if (splitArr[1] === '-') {
if (splitArr[0] - splitArr[2] === splitArr[4]) {
display = 'O'
} else display = 'X'
} else {
if (splitArr[0] + splitArr[2] === splitArr[4]) {
display = 'O'
} else display = 'X'
}
answer.push(display)
}
return answer
}
const quiz = ['3 - 4 = -3', '5 + 6 = 11']
console.log(solution(quiz)) // "X", "O"
다른 사람들 풀이 과정을 보면 내가 얼마나 알고리즘이 부족한지 알 수 있다..
function solution(quiz) {
var answer = []
return quiz.map((t) => {
const [calc, result] = t.split(' = ')
const sign = calc.includes('+') ? 1 : -1
const [a, b] = calc.split(sign === 1 ? ' + ' : ' - ')
return +a + +b * sign === +result ? 'O' : 'X'
})
}
function solution(quiz) {
return quiz
.map((el) => el.split(' = '))
.map((el) => {
return eval(el[0]) == el[1] ? 'O' : 'X'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