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에는 제품혁신(스마트폰,전기차), 공정혁신(자동화생산라인), 비즈니스 모델 혁신(우버플랫폼), 서비스 혁신(챗봇,원격진료)이 있습니다.
지속적 혁신(스마트폰 카메라 해상도 향상), 급진적 혁신(반도체, 인터넷 초기), 파괴적 혁신(DVD vs OTT), 아키텍처 혁신(노트북>태블릿)
시장 진입 시기에 따라 선도자와 후발자로 나뉘는데
선도자는 고객 락인, 브랜드 선점, 규모의 경제 조기 확보 같은 이점이 있고
후발자는 기술 리스크 회피, 학습효과, 비용우위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핵심역량은 기업이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게 해주는 독자적인 기술 같은 걸 의미.
핵심경직성은 독자적인 기술이(코닥의 필름같은 게) 나중에는 결국 걸림돌이 된다는 것입니다.
재무 외의 다양한 관점으로 균형있게 관리하고 성과하는 도구입니다.
재무, 고객, 프로세스, 학습 및 성장으로 나눠 구체적 kpi로 관리합니다
협업 방식을 동시(회의/줌), 비동시(메모게시판,이메일)// 동지, 이원지로 분류한 것.
보안과 보호 관련한 문제 전반,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불법 접근 및 침입, 악성코드 랜섬웨어, 서비스 거부 공격, 사회공학 공격 등
기업 사업의 포트폴리오를 분석하는 도구입니다.
고성장 고점유율 > 스타 (유지및 투자확대)
저성장 고점유율 > 캐시카우 (수익극대화, 효율화)
고성장 저점유율 > Question Mark 선택적 투자
저성장 저점유율 > Dog 철수 또는 최소 유지
New Product Development
아이디어 창출, 평가 테스트 전략 수립 사업성 분석, 제품개발, 테스트 및 출시까지의 구조
전략적 의사결정 과정입니다. 리스크를 줄이고 성괄르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