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리얼무작정 부딪쳐보기 (#1)

김우현·2024년 11월 1일
0
post-thumbnail

에디터부터 대략 설치하고 나서 프로젝트 시작하기

Mobile Thrid Person, BLUEPRINT, DESKTOP, Maximum

Starter Content, Raytracing

Starter Content는 없이 하면 빠르게 프로젝트가 로드 됨, 다만 스펙도 하도 높고 처음하기에 난 넣을거임

Raytracing은 PC GPU가 레이 트레이싱을 지원하는지에 달려 있음, 모바일 프로젝트라 체크 해제 하겠음.

프로젝트 이름은 공백 없이 영어로만 작성해야함.

프로젝트 생성 후 들어가게 되면 화면에 가장 중앙에 나오는게 바로 "뷰포트(Viewport)"

뷰포트 : 현재 열린 레벨의 미리보기

툴바에서 플레이 버튼을 누르면 레벨이 실행됨.

3인칭 캐릭터 시점으로 실행, 캐릭터를 활성화하고 조작하려면 뷰포트 안을 클릭하여 조작.

마우스로 시점을 조작하고 WASD 키로 캐릭터를 이동하고 점프할 수 있음.

플레이를 멈추고, 언리얼 에디터로 계속 작업하려면 ESC 키를 누르면 됨.

플레이가 아닐때 뷰포트를 탐색하려면 마우스 우클릭으로 포인터를 고정한 채 일인칭 슈팅 게임처럼 주변을 볼 수 있으며, WASD키로 움직이고 Q,E 로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음.

Alt 키 누르고 화면 돌리거나 하는 등, 기본적인 3D 툴의 방법도 어느정도 통함.

마우스 우클릭을 누른 채로 이동할때, 카메라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고 싶다면 마우스 휠로 이동 속도 조절 가능.

마우스 왼쪽버튼으로도 가능하지만, 위와 아래를 볼 수 없음. 조작키는 그대로 가능.

마우스 가운데 버튼을 누르면 회전하면서 맵을 탐색.

성능 문제로 엔진이 버벅거리면 오른쪽 상단에 세팅 -> 엔진 퀄리티 세팅에서 퀄리티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 LOW(낮음) 로 하면 됨.

에디터에 있는 아웃라이너, 디테일 등 대부분의 인터페이스는 우리가 원하는대로 설정 가능. 해당 탭을 없애거나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

만약 사라진 패널을 다시 여는 방법을 모르겠다면, 가장 쉬운 방법은

Window -> Load Layout -> Default Editor Layout 클릭 : 처음의 레이아웃으로

profile
응애.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