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서버와 애플리케이션의 전통적인 분리
서버와 애플리케이션의 분리
-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서버: 과거에는 Java 웹 애플리케이션들이 JBoss, WebSphere 또는 WebLogic 같은 애플리케이션 서버나 Apache Tomcat, Jetty와 같은 웹 서버에 별도로 배포되었다.
- WAR 파일 배포: 애플리케이션은 WAR (Web Application Archive) 파일로 패키징되어, 서버에 배포되었다.
- 서버 관리의 복잡성: 개발자와 시스템 관리자는 이러한 외부 서버의 유지보수와 구성을 별도로 관리해야 했다.
개발 및 테스트의 복잡성
- 환경 일치의 중요성: 개발 및 테스트 과정에서는 당연히 프로덕션 환경과 유사한 서버 환경을 구축해야 했다.
- 스케일링과 부하 분산: 애플리케이션의 스케일링은 서버의 스케일링을 의미했으며, 부하 분산과 리소스 관리를 위한 복잡한 설정이 필요했다. 웹 서비스가 사용자가 늘어 서버를 늘려야 할 경우, 웹 서버에 대한 설정도 변경해야 했다는 것이다.
Spring Boot의 등장과 변화
Spring Boot의 핵심 개념
- 임베디드 서버: Spring Boot는 Tomcat, Jetty 또는 Undertow와 같은 임베디드 서버를 지원한다. 이는 애플리케이션 내부에 서버가 포함되어 있음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 독립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은 모든 필요한 의존성과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단일 실행 가능한 JAR 파일로 패키징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고 실행하는 것이 훨씬 쉽고 용이하다.
Spring Boot의 이점
- 개발 및 배포의 단순화: 별도의 서버 설정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테스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휴대성과 유연성: 어떤 환경에서든 Java Runtime Environment (JRE)가 있으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와의 호환성: 각 마이크로서비스는 임베디드 서버를 포함하는 독립적인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으로 운영될 수 있다.
- 기존 방식 지원: 스프링 부트는 WAR파일을 이용한 배포도 지원하기 때문에, 기존의 방식대로 배포를 할 수도 있다는 점도 이점이다.
결론
Spring Boot의 등장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개발과 배포 방식을 혁신적으로 변화시켰다. 이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경향이 더 가볍고, 모듈화되며, 자체 완결성이 강조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데 일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