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르타 코딩 클럽 웹개발 종합반 - 5주차[사전스터디]

스브코·2021년 10월 31일
0

프로젝트 서버에 올리기

AWS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서버를 관리 하기 위해 EC2사용권을 구입(free 1년)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이유

언제나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항상 켜져있어야 하고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어야 하므로,
모두가 접근할 수 있는 공개 주소인 공개 IP 주소로 나의 웹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하지만,
개인 PC로는 쉽지않고 보안에도 취약하므로 요즘에는 통상적으로 클라우드를 사용하여 관리한다. 

AWS 서버 구매 및 사용 방법(EC2)

  1. 인스턴스 생성(Linux Ubuntu 프리티어 가능)

  2. 키페어 생성(잘 보관하기)

  3. 인스턴스 시작

  4. git bash에서 키페어 파일에 권한 주기 (sudo chmod 400 keypair 경로)

  5. 원격 접근 (ssh -i keypair 경로 ubuntu@인스턴스의 퍼블릭 IPv4 주소)

  6. 클라우드 서버 접근 완료 후, terminal 에서 조작

  7. filezilla를 이용하여 파일 업로드 하기

      - site 관리자에 new site 추가   
      	(port: 22, logon Type: key file, user: ubuntu, key file: keypair 파일) 후 connect하여 서버 접속
  8. ec2서버 환경 셋팅 하기

    • initial_ec2.sh 파일 생성 후 filezilla로 옮기기
    • file에 권한주기: sudo chmod 755 initial_ec2.sh
    • ./initial_ec2.sh 로 실행하여 설치 완료하기
    • pip install flask로 설치가 안된 패키지 라이브러리 설치 해주기
  9. AWS 포트 열어주기

    • instance페이지에서 '보안' -> '보안그룹' 클릭
    • 인바운드 규칙 편집 클릭 -> 포트 지정 후 규칙 추가

서버에 프로젝트 올리기 전에 내컴퓨터에서 서버에 있는 mongoDB에 접속해놓기

robo3T에서 connect 클릭 후 ec2 server, port, authentication 입력 후 접속

nohup 설정하기 - SSH 접속을 끊어도 서버가 계속 돌게한다.

- 명령어: nohup python app.py &
- 끄기: ps -ef | grep 'app.py' 하고 kill -9 process code

도메인 셋팅

- 가비아에서 구입 후 MyGabia -> DNS 관리툴 -> 설정 -> DNS 레코드 수정
- 호스트: @,  IP주소: 내 인스턴스 IP  확인 후 저장

og태그

	<meta property="og:title" content="원페이지 쇼핑몰"/>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내가 만든 첫 웹서비스!"/>
    	<meta property="og:image" content="{{ url_for('static', filename='og.jpg') }}"/>


og태그 이미지가 바뀌었을 경우 수동으로 비워줘야한다. 
profile
익히는 속도가 까먹는 속도를 추월하는 그날까지...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