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다원·2022년 12월 30일
0
post-thumbnail

가상머신

호스트 머신 안에 VMware와 VirtualBox 등의 응용프로그램을 이용
게스트 머신을 생성하여 운영, 게스트 머신은 하나의 파일로 취급, 복제, 삭제 이동이 가능

CPU

Architecture(명령어 해석기)를 가지고 있으며, Intel, ARM, MIPs, Spare 계열 등이 있음
CPU마다 고유하게 해석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 상호호환이 되지 않으나, 가상머신에서는 가능
IBM PC: 퍼스널 컴퓨터, 현재 개인용 PC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종류

Linux

리눅스는 안정적인 오프소스 운영체제
기본적인 오피스계열로부터 멀티미디어까지 광범위한 응용 프로그램 지원
리눅스의 경우 데스크탑으로 GNOME과KED 지원 둘 중 선택해서 사용
-> 판넬, 애플릿, 가상 데스크탑, 메뉴 등을 사용자 임의로 지정해서 사용 가능
Linux는 PC이자 UNIX 서버이면서 도메인 호스트인 워크스테이션이 될 수 있음
Server와 Client는 P2P방식으로 연결되어져 있음
-> Intel 계열 CPU에 UNIX 설치가 가능하게 만든 것
Multi-users와 Multi-tasks 가능한 운영체제
POSIX 호환
-> POSIX: UNIX/Linux와 같은 시스템들이 공통 API 모듈을 통해서 어떻게 상호 시스템 호출과 인터페이스 연결이 세부적으로 규정
FHS(파일시스템): 리눅스 파일구조는 파일과 디렉토리 구조를 지정하는 FHS 파일시스템을 고수 루트부터 시작하여 점차 낮은 단계에 있는 디렉토리 순서

특징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구별이 없어, 유연성이 돋보이는 운영체제
IBM의 Mainframe 과 Minicomputers의 운영체제로 사용되었던 UNIX PC 버전으로 볼 수 있음, 속도,효율성,확장성,유연성 등
현재는 커널 운영체제 프로그램과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이 함께 꾸러미(bundle)로 배포됨
GNU 프로젝트에 의해서 오픈 소스
응용 프로그램들은 배포 rpository나 배포판 안에 Package 형태를 이루고 있음
네트워크 특성도 좋아 서버를 안정적이고 빠르게 서비스 할 수 있음

구조

kernel: 프로그램 실행과 하드웨어 장치를 관리
shell: 커널과 사용자 사이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데몬

Kernel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디스크나 하드웨어 장치를 관리하는 핵심(하드웨어 스케줄러)
인터페이스를 부여받아서 사용하고자 하는 환경에 맞게 데스크 탑이나 쉘을 조절해가면서 사용
리눅스의 파일은 전체 디렉터리=1(root)기준으로 하위 디렉터리가 생성되어 트리구조

윈도우에서의 디렉터리 구조를 Register 구성, 각각을 hive(벌통)으로 부름
Window 시스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정보 설정값들이 저장되어 있는 각각으로 구성
제어판: 일반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것들만 꺼내 모아 둔 곳

GNU 소프트웨어

공개 라이센스 상권, 정식 라이센스가 있는 것
가장 유명한 공개 라이센스가 Free Software

Centos7 Install

서버를 설치할 때에는 최소 설치로 진행 한 뒤 필요한 모듈을 사용하고자 할 시점에 설치하고 사용
리눅스 설치시
1. /와 swap 두 가지만으로 설치
2. /boot, /tmp, /home, /var, /usr/local, /etc 일일히 크기를 지정해서 설정해 줄 수 있음
=> swap, cache, virtual memory, buffer 등 모두 예비된 메모리를 의미

  • swap(buffer memory, temp 등의 개념),virtual memory 실제 RAM의 1.5~2배 지정, HDD 공간의 일부를 메모리가 사용
    서버의 경우 최소 설치 후 필요한 패키지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중요

CentOS network 설정 파일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3
: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파일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
/etc/resolv.conf
: DNS 설정 (외부접속을 위해 반드시 필요)
/etc/sysconfig/network
/etc/hostname: 호스트 이름 설정
/etc/selinux: 보안 설정

SELinux

Security Linux
서버의 접속하는 클라이언트는 서버에서 지정하는 보안 레벨과 일치해야 접속할 수 있음
(클라이언트 보안 레벨 = 서버 보안 레벨)
setenforce0 : sellinux 를 낮춤

Ubuntu install

Network 설정파일

/etc/network/interface
/etc/resolv.conf
:ubuntu 18.04의 경우 resolvconf 패키지를 사용하여 DNS 서버를 저장해두는 것이 좋음 (/etc/resolvconf/resolv.conf.d/head)
/etc/hostname

NetworkManager

ubuntu의 경우 NetworkManager 사용
호스트 머신의 위치 등에 따라 IP주소의 유동성을 위해 사용 (IP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사용이 가능)
서버의 경우 IP주소의 경우 변경할 수 없음
-> 서버의 경우 NetworkManager를 고정시켜야됨
SELinux의 레벨 설정이 옵션으로 존재

temporary Network setting


파일에서 설정하는 것과의 차이
: firewall-cmd, ifconfig ens33 등의 명령어로 설정한 네트워크는 temporary(임시적)하여, 현재 session에서만 적용됨 파일에서 설정 할 경우 영구적으로 사용됨

hostname 이름

/etc/hostname 에서 hostname을 설정할 수 있고
옵션 중 -F를 사용하면 변경된 호스트네임 적용
옵션 중 -f를 사용하면 호스트 네임 확인

Text mode > Graphic mode

X Winodw System, Desktop, Desktop Platform, Fonts, General Purpose
Desktop 패키지 설치 시 Graphic mode로 변경 (init 5)

  • Gracphic mode로 실행 될 경우 CLI 모드를 가지고 있음 (init 3)

Run-Level

Linux에서는 run-revel로 실행 모드를 변경 할 수 있음
/etc/inittab에 위치해 있음

init 명령어
init 0 shutdown
init 1 root command
init 2
init 3 CLI (centos7의 경우 multi-user.target)
init 4 reserved
init 5 GUI (centos7의 경우 graphical.target)
init 6 reboot

GUI가 설치가되면 CLI 역시 사용할 수 있음
-> CLI 우선 설치 후 GUI에 필요한 패키지를 추가로 설치하여 상호 변환이 가능하도록 운영됨

system-default

default로 들어가 있는 방식이 graphical.target 으로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default 값을 multi-userget-dafault.target 으로 바꿔주면 CLI가 기본 default 값으로 변경됨

profile
공부일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