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2

다원·2022년 10월 25일
0
post-thumbnail

네트워크 Topology

Bus: 동축케이블(구리속, 은박지는 잡음 noise 방지) T-connector or Vampire tap (BNC connector)등을 사용 50ohm 임피던스의 terminator를 부착, Scalable 하지 못함
Star: UTP/STP 케이블 사용(Unshileded Twisted Pair),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며 8Line, straight-thru/cross-over (RJ-45 jack), Hub or switch 장치를 사용 CAT(catalog)5, CAT6e 시리즈
Ring: 이론적으로는 Ring의 형태이나, 물리적으로는 Star형 (MAU 연결 장치를 사용) NIC 두 개의 포트(IN/OUT), STP cable 사용
서버끼리 묶으며 tocken이 한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음, tocken이 네트워크가 맞는 호스트에 도착 할 때 까지 링을 돌아다님
Mesh(Hybrid): 여러 Topology를 묶은 것

  • Scalable(규모): 확정성이 있음.
  • 서버에서는 이중링을 많이 사용함

UPT/STP 케이블

이더넷과 토큰링에서 자주 보는 케이블
STP: 성능은 우수하나, 높은 가격으로 토큰링에서 주로 사용
UPT: 이더넷에서 주로 사용

광케이블 (fiber-optic)

: 모뎀으로 들어가서 연결, ST/MT로구분, vaccum (진공)상태로 잡음, 간섭이 없으며, laser/led 빛으로 데이터를 전송

  • single Terminal:
  • multi Terminal:

허브

dummy hub -> switching hub(가장 많이 사용)
=> Modem과 연결되며 무선 AP(access point)와 유선 port를 보유중
외부 WAN analog, LAN Digital 이 두개를 변환시켜서 연결하는 것이 Modem
intelligent hub: 허브에 관리 기능을 추가
ex) 각 방에는 switch 설치하고 각 층에 intelligent hub를 사용하여 관리 => 각 층마다 스위치를 달면 콜리전 도메인 발생
건물 동이 여러개면 LAN 끼리 bridge or 무선 연결
stackable hub: 허브 묶음

전이중/반이중

전이중 full-duplex(양방향)
반이중 half-duplex(단방향)
simplex(한방향 통신)

NAS 서버

노드들은 위 기법들로 주변장치와 통신하는데, 이를 조절할 수 있음
스위치나 라우터에서의 기본값으로 반이중 통신인데,
이를 전이중으로 변경하면 이론적으로 송수신 속도가 2배가 됨
=> 라우터의 속도가 느리다고 판단되면, 라우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바꾸는 것이 좋음
dcuplex: 통신에서 데이터의 이동

Pilot system

서버와 클라이언트 별로 네트워크 구축
서버 업데이트 시 문제 없다면,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보안성이 좋음
버전 관리에 용이, 보안의 문제 해결 WAN 보다 LAN이 빠르게 됨

DATA 전송 단위

bps: 일반적으로 bit per second/Baud per second

FDDI

: Tocken pass, 2Km 전송가능하며, Primary ring, secondary ring Wrapping 기법 사용 (SAS, DAS, Concentrator 연결)
WAN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법
NIC가 구멍이 4개 일 때는 FDDI라는 것을 알 수 있음

ATM (Asynchronous Trasnfer mode)

: 음성, 화상, 데이터를 동일한 매체를 통해서 전송
여러가지 데이터 타입을 각각 보내지 않고 Concentrator(집중화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모아서 전송하고, 받은 데이터를 Distributor(분산하기)하여 분배함, Multiplexer 등의 장비를 사용
전송하는 데이터가 다양하기에 데이터를 53Byte Cell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며, 광케이블로 연결되어있음, 간단하게 물류센터라고 생각하면됨
-> LANE(LAN Emulator): WAN의 ATM기법을 LAN에 접목시킨 경우 높은 비용과 복잡하기에 사용하지는 않음

==> FDDI와 ATM은 ISP(Internet service Provider)/CO(Central Office/전화국 Telcom)와 같은 WAN 에서 사용되는 장비

충돌 도메인(collision domain)

충돌도메인이란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어서, 라인으로 데이터 전송 시 모든 노드들의 논리적 그룹, 충돌 도메인을 나누는 것이 필요, 리피터는 단순히 연결장치여서 사용하지 못하며, 스위치나 브리지로 충돌 도메인을 나눔. (허브를 사용하여 사용하기에 나타나는 현상)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Broadcast domain)

같은 브로드캐스트를 받는 노드들의 논리적 그룹, 영역이 커지면 네트워크 효율이 나빠지므로 브리지 or 스우치 장비를 사용해서 분리할 수 없고, 라우터로 나눔

==> 동일한 크기의 네트워크 있을 때 스위치는 포트별로 콜리전 도메인 분할, 허브는 모두 하나의 콜리전 도메인으로 만들고, 라우터는 전체를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으로 만듦.

**CAM TABLE ROUTING TABLE 등
스위치는 포트별로 콜리전, 허브는 하나의콜리전 도메인.
스위치는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정리

내부에 없는 DNS SERVER 주소로 간다면?
허브는 내부의 노드를 전부 확인 없다면
스위치는 CAM 스위칭 테이블에서 점검
허브와 스위치에 없다면, 라우터의 게이트웨이에게 IP주소 찾는 패킷 전송
라우터 DNS 서버에게 DMS의 IP주소를 풀어서 패킷을 보내 연결
-> 관리적 차원에서

  • Windows server: \c\window\system32\config\sam 파일 or C\window\system32\drivers\etc\hosts 파일
  • Linux server: /etc/hosts파일에 IP address 호스트 명을 한 줄에 하나 씩 매칭
  • Web browser에 Proxy 서버를 설정해주면 외부로 나갈 필요 없이 연결
    => 보안적 문제?
    해커의 IP주소 도메인 주소를 적어주면, 사용자가 엉뚱한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음
    = phishing attack 일정한 수의 노드에 네트워크에 라우터를 추가하여 라우터가 2개가되면
    브로드캐스트 수는 2개
    브로드캐스트의 크기는 1/라우터의 수 로 효율이 더 좋아짐

    리피터 repeater

    단순히 연결을 늘려주는 역할, 현재는 무선으로 연결
    Ethernet은 100m넘기지 못하고 10% 남김으로 90m가 최대 연결 거리
    이 거리를 연결하기 위해서 repeater를 사용
    Wan에서는 amplifier 사용했었으나, 잡음도 증폭해서 사용되지 않음,
    repeater도 무선으로 대체하면 100m 이상 가능하기에 리피터의 사용량이 줄어듬
    latency(지연)의 대한 문제점이 있을 수 있음

    브릿지


    절대적으로 포트가 두개 정도 스위치처럼 CAM(브리징 테이블) 네트워크 분할
    Learning, filterfing, blocking, flooding, forwarding, aging의 과정으로 프레임을 통제하는 L2장비
    건물과 건물을 연결에 적합, 속도가 빠르며, 논리적으로 라우터 없이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분할

    스위치와 브리지의 차이

  • 스위치
    브리지보다 포트 밀도가 높으며, 포트가 몇백개가 될수 있음.
    VLAN 지원하며 대역폭이 다른 LAN끼리도 묶을 수 있음,
    full-duplex 작동하며, looping을 막기위해 spanning tree 알고리즘 지원
    동기종 topology만 연결함, 충돌영역 분할
  • 브리지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구현, 스위치보다 느리게 처리되며, 대역폭인 다른 LAN연결안됨
    포트의 수가 2~4이며, 이기종 토폴로지 연결 가능, 일종의 브르드캐스트 영역 분할
profile
공부일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