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대상을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는 이름을 지칭
- 캐멀 케이스 : 대문자로 시작 → 클래스
- 스네이크 케이스 : 소문자로 시작 → 함수 (괄호 x), 변수 (괄호 o)
리터럴: 'asdf'와 같이 문자열 그 자체가 값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
자료형: 리터럴의 형태를 의미
데이터를 담는 공간
C 언어는int number
와 같이 사전에 변수를 선언하고 메모리 공간을 확보 후 사용한다
그러나 파이썬에서는number=132
에서 변수 number가 생성되고, 그 변수가 리터럴 132에 의해 만들어진 정수(int) 객체를 참조하는 형식이다
input() 함수는 항상 결과가 문자열 이다.
print 함수는 호출 때마다 라인피드(line feed)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려면 키워드 인수인end=" "
를 뒤에 붙여주면 된다. 예)print("hello", end=" ")
- 두 개의 문자열을 + 연산자를 써서 연결할 수 있다
- 문자열의 각 문자들을 인덱스 연산자로 접근할 수 있다
- 문자열에 %를 사용해 포맷된 문자열을 만들 수 있다
- 예)
msg = "취미=%s, 나이=%d, 학점=%f" % (hobby, age, score)
- 참고할 만한 메소드
s.strip([chars\])
공백이나 선택된 문자 chars를 문자열에서 제거s.split([separator], [chars])
공백이나 separator로 주어진 문자로 문자열을 분리함. 문자열의 리스트를 반환함
- 리스트의 메소드
- a.append(item)
- a.extend(b)
- a.count(item)
- a.index(item, [시작], [종료]) → 리스트에서 항목 item을 찾아 가장 작은 인덱스를 반환. 탐색의 시작/종료 위치 지정도 가능함.
- a.insert(position, item)
- a.pop(position)
- a.remove(item)
- a.reverse()
- a.sort([key], [reverse]) → 항목을 정렬
- 리스트와 동일하지만, 크기나 값을 변경할 수 없다
- 따라서 메모리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 map 이라는 사전에 항목 추가하기
- map['key'] = 'value'
- map.update({'key1' : 'value1', 'key2' : 'value2'})
- in 연산자로 사전 검사하기
- print('key' in map)
- in 연산자는 리스트, 튜플에서 순차탐색을 이용하지만, 딕셔너리에서는 해싱을 참조한다
- 리스트와의 차이점
- 원소 중복 허용 x
- 순서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