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주소의 구조

유다한·2023년 10월 18일
0

네트워크 기초

목록 보기
14/19

이번 포스팅에서는 IP 주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P 주소

IP 주소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에게 받을 수 있어요. 즉 SK, LG와 같은 통신사가 IP주소를 제공해요.

IP 버전에는 IPv4와 IPv6가 있는데, 현재 주로 사용하는 것은 IPv4이지만 32비트로 만들어져, 43억개의 주소만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80억명이 사는 세상에 휴대폰 하나씩은 꼭 가지고 있으니 주소가 부족하겠죠?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128비트로 만든 IPv6입니다. IPv6는 약 340간 개를 만들 수 있어요. 갑자기 간이 무엇인가 싶으실텐데, 엄청나게 큰 숫자의 단위입니다. 사실상 무한대의 주소를 가질 수 있는 것이죠.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

IP 주소에는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가 있습니다. 공인 IP 주소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가 제공해요.

왜 두 종류의 IP 주소가 있을까요? 위에서 설명한 대로 IPv4의 주소의 수 부족 문제로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는 컴퓨터나 라우터에는 공인 IP 주소를 할당하고, 회사나 가정의 랜에 있는 컴퓨터는 사설 IP 주소를 할당하는 정책을 사용하고 있어요.

위의 그림과 같이 랜 안에 컴퓨터가 여러대 있다면 공인 IP 주소는 사용할 수 있는 숫자가 제한되므로 컴퓨터 한 대당 공인 IP 주소를 하나씩 할당하기는 어려워요.

그래서 우선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공인 IP 주소는 라우터에만 할당하고
랜 안에 있는 컴퓨터는 랜의 네트워크 관리자가 자유롭게 사설 IP 주소를 할당하거나 라우터의 DHCP 기능을 사용하여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고 있어요.

이로 인해 공인 IP 주소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IP 주소의 표현단위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는 모두 32비트 체계를 갖고있어요. 표현하기 쉽게 10진수로 사용한답니다. 하지만 컴퓨터도 이해할 수 있어야하기 때문에 2진수로 변환시키죠.

IP 주소는 32비트를 8비트씩 나누어 표시해요. 참고로 이 8비트를 옥텟(octet)이라고 부르기도 해요.

위의 그림과 같이 8비트를 나눈 순서대로 1, 2, 3, 4 옥텟으로 부릅니다.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

IP 주소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나눠져있어요.

네트워크 ID는 '어떤 네트워크'인지를 나타내고, 호스트 ID는 '해당 네트워크의 어느 컴퓨터'인지를 나타내요. 이 두가지 정보가 합쳐져서 IP 주소가 됩니다.

profile
유다한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