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3052: 나머지 | 파이썬

유경의 공부방·2022년 3월 24일
1

python

목록 보기
3/13

문제

두 자연수 A와 B가 있을 때, A%B는 A를 B로 나눈 나머지 이다. 예를 들어, 7, 14, 27, 38을 3으로 나눈 나머지는 1, 2, 0, 2이다.

수 10개를 입력받은 뒤, 이를 42로 나눈 나머지를 구한다. 그 다음 서로 다른 값이 몇 개 있는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부터 열번째 줄 까지 숫자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이 숫자는 1,000보다 작거나 같고, 음이 아닌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42로 나누었을 때, 서로 다른 나머지가 몇 개 있는지 출력한다.

풀이

arr=[]
for i in range(10):
    n=int(input())
    arr.append(n%42)
arr=set(arr)
print(len(arr))
​

설명

먼저 숫자를 저장할 리스트 arr를 설정해준다

반복문을 이용하여 숫자 10개 값을 입력 받는다

이 때 바로 arr.append(int(input()))해서

바로 리스트로 올리지 않고

n이라는 변수에 따로 저장해준다.

그 이유는 arr에는 42로 나눈 값을 저장할 것이기 때문!

리스트는 중복을 허용한다. 따라서 set()이라는 함수를

사용하여 중복을 없애준다

이 때 그냥 set(arr)해버리면 이 줄에서만 저장이 되고

초반의 arr은 변하지 아니하므로

arr=set(arr)로 해야한다

덧붙여 set() 정렬 함수는 리스트 중복만을 제거하고

정렬은 제멋대로 된다

리스트 길이 재는 len()함수를 사용해 출력

요소 개수 센다고 .count사용하면 안된다........

count는 원하는 특정 문자를 셀 때 활용!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