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문이란?
무조건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실행되는 구문
🔎 if 문
- if 문은 주어진 조건이 참일 경우에 지정된 구문이 실행된다.
if(조건){ ..실행할 구문.. }
if문의 조건식
👉 비교식(비교연산자 사용)
👉 논리식(논리연산자 사용
👉 boolean 값
🔎 if ~ else 문
- 그렇지 않으면?
- if 문의 조건이 참일 경우에 실행되는 구문이라면, if문의 조건과 반대되는 경우에 실행되는 구문이 else문이다.
- else문은 독립적ㅇ로 실행될 수 없고, 반드시 if문의 뒤에 위치해야한다.
if(조건){ ..실행할 구문.. }else{ ..실행할 구문.. }
🔎 if ~ else if ~ else 문
- if문과 else문 사이에 else if 문으로 두번째 조건, 세번째 조건을 나열할 수 있다.
- else if 문은 필요한 만큼 나열할 수 있으며, 필요치 않을 경우 else문은 생략 가능하다.
if(조건){ ..실행할 구문.. } else if { ..실행할 구문.. } else if { ..실행할 구문.. } else if { ..실행할 구문.. } else{ ..실행할 구문.. }
🔎 switch문
- 변수값에 대한 경우의 수를 처리하는 switch문
- switch문은 하나의 변수(기준값)에 대해 여러가지 case를 정의하는 구문이다.
- if문은 조건에 식(비교식, 부등식) 이 사용될 수 있지만, switch문은 분기 조건에 반드시 일치하는 "값"에 대해서만 처리 가능하다.
switch(기준값){ case 값1: ..실행할 구문.. break; case 값2: ..실행할 구문.. break; case 값3: ..실행할 구문.. break; default: ..모든 경우에 충족되지 않을 경우 실행할 구문.. brea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