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문자를 위한 HTML 기초 강의(11)

CATYUM·2021년 8월 18일
0

meta 태그


  • HTML 문서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정의한다.
  • 메타데이터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즉 '정보'를 의미한다.
  • meta 태그는 항상 head 태그의 안에 들어가며, 일반적으로는 문자 세트,페이지 설명,키워드,문서의 작성자 및 뷰포트 설정을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meta 태그를 사용하는 이유는?

웹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검색엔진이 페이지를 검색할때 참고할수 있고, 검색 결과에도 반영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의 유형,속성은?


1) charset

문자 인코딩에 대한 요약 정보를 기입하는 속성이다.

<meta charset="UTF-8"> 

2) http-equiv

콘텐츠 속성의 정보/값에 대한 HTTP헤더를 제공한다.

<!-- IE 브라우저의 최신 버전의 엔진을 사용하라는 뜻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10초마다 페이지 새로고침하라는 뜻 -->
<meta http-equiv="refresh" content="10">

3) name

name 속성을 이름으로,content 속성을 값으로 하여 문서 정보를 이름+값 쌍의 형태로 제공할때 사용할 수 있다.

<!-- 문서 제작자 -->
<meta name="author" content="사과나무">
<!-- 페이지에 대한 요약. 브라우저 즐겨찾기 페이지의 기본 설명 값 -->
<meta name="description" content="페이지에 대한 짧고 명확한 요약">
<!-- 페이지의 콘텐츠와 관련된,쉼표로 구분한 키워드 목록 -->
<meta name="keywords" content="강아지,고양이,정보,반려동물,등등">

4) content

메타데이터의 구체적인 내용을 기입하는 속성이다.

뷰포트(viewport)


  • 뷰포트는 현재 화면에 보여지고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 웹 문서는 기본적으로 PC화면에 맞춰 설계 되었기 때문에, 다른 기기에서 배율 조정이 일어난다.
  • 배율 조정 현상에 대흥하기 위해 개발자는 메타태그를 사용해 뷰포트 관련 설정을 추가할 수 있다.
profile
나는야 개발자가 될꺼야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