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출처: https://wikidocs.net/192339
예시로 확인하면 이해가 훨씬 쉽습니다.
end
print('Welcome to', end=' ') print('IT News', end=' ') print('Web Site') >>> Welcome to IT News Web Site
기본적으로 print 함수는 문자열을 출력한 후에 줄바꿈('\n')을 자동으로 수행합니다. 이는 많은 상황에서 유용하지만, 때로는 출력된 문자열들을 같은 줄에 이어서 출력하고 싶을 때도 있습니다.
end
print('Welcome to') print('IT News') print('Web Site') >>> Welcome >>> IT News >>> web Site
위의 코드처럼 end옵션이 없다면 줄바꿈이 되고 출력이 되겠죠!🙂
전에 배운 sep옵션과 end옵션의 차이를 보면
format은 문자열 포멧팅을 위해 사용되는 파이썬의 내장 메서드
문자열 안에 변수의 값을 삽입하거나, 문자열을 특정 형식으로 출력할때 사용
형식 지정자(값의 형식을 지정해준다.)
두가지 방식(format, %) 모두 쓰이므로 알아두자.
- d(digit) : 7
- s(string) : 'korea'
- f : 3.1415
print('%s %s' %('one', 'two')) >>> one two # %s는 문자열 포맷을 위한 홀더라고생각하면됩니다. %로 연결시켜주고 괄호안에있는 'one','two'를 왼쪽의 %s에 넣어준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print('{} {}'.format('one', 'two')) >>> one two # 위의형식과 다르게 {}안에 .format으로 연결된 'one', 'two'를 넣어줍니다. 형식은 다르지만 결과는 같고 가독성은 더 좋습니다. %s,%d를 쓸필요 없기 때문입니다. print('{} {}'.format('one','2')) >>> one 2 # 문자열과, 정수형을 같이 삽입해도 상관없습니다. print('{1} {0}'.format('one','two')) >>> two one # {}안에 인덱스를 넣어주면 인덱스의 순서에 맞게 format에서 출력을 해줍니다. 인덱스는 0부터 시작이므로 two one순서대로 출력해줍니다.
%s(string)
print('%10s' % ('cool')) >>> cool # 총자릿수는 10개이며 왼쪽부터 공백으로 cool을 출력한다. print('{:>10}'.format('cool')) >>> cool # 위의 코드 결과값과 같다. 임의적으로 왼쪽으로 기호를 표시해 10자리를 확보하고 cool 출력 print('%-10s' % ('cool')) >>> cool # -일때는 왼쪽부터 정렬 print('{:10}'.format('cool')) # 기호 생략은 왼쪽부터 정렬 >>> cool print('{:_>10}'.format('cool')) # 공백은 기호로 채운다. >>> ______cool # 공백을 기호로 채운다. print('{:^10}'.format('cool')) >>> cool # ^는 중앙정렬, 3칸공백+4칸(nice)+3칸공백 print('%.5s' % ('pythonstudy')) >>> python # 5개까지 짤라서 보여준다. print('{:10.5}'.format('pythonstudy')) >>> python # 총 10개의 자릿수를 확보하는데 5개만 나오게 절삭
%d(digit)
print('%d %d' %(1,2)) >>> 1 2 # 정수를 문자열로 변환하여 출력 print('{} {}'. format(1,2)) >>> 1 2
%f(float)
print('%f' % (3.1212121212)) >>> 3.1212121212 # 부동소수점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하여 출력 print('%1.8f' % (3.121213131414)) >>> 3.12121313 # 정수부는 한자리만 나오고 소수부는 여덟자리 까지 나온다. print('{:f}'.format(3.111222333)) >>> 3.111222 # {:f}는 기본적으로 소수점 6자리까지 출력합니다. print('%06.2f' % (3.12341234)) >>> 003.12 총6자리가 나오도록하고, 소수는 2자리가 나오게한다. 이때 정수부분은 0으로 채운다. print('{:06.2f}'.format(3.14141414)) >>> 003.14 print('{:06.2f}'.format(3.14141414)) >>> 003.14 # 위와 같은 겨로가가 나온다.
format()에서 주로 %s가 많이 쓰이고, % f는 많이 쓰이지 않지만 공부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end 옵션 그리고 format()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처음에는 낯설어도 계속 복습하다 보면 나중에는 자연스럽게 작성이 가능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다음에는 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