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데이터타입

코딩하는김선생·2021년 11월 16일
0

데이터타입이란?

데이터타입은 값의 종류를 의미하며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은 데이터 타입을 갖는다.
데이터타입은 원시타입과 객체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원시타입종류부터 살펴보자

숫자 타입

숫자 타입의 값은 모든 수를 실수로 처리하며, 정수만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이 별도로 존재하지않는다.
이는 정수로 표시된다해도 사실은 실수 라는것을 의미한다.

console.log(1 === 1.0); //true
console.log(3 / 2); // 1.5

숫자타입은 추가적으로 세가지 특별한 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console.log(10 / 0); //Infinity : 양의 무한대
console.log(10 / -0); // -Infinity : 음의 무한대
console.log(1 * 'String'); //NaN : N a Number 산술 연산 불가

문자열 타입

문자열 타입은 텍스트의 데이터를 나타내는데 사용하며 전세계 대부분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var string;
string = '문자열' // 작은따옴표 -> 일반적인 표기법
string = "문자열" // 큰따옴료
string = `문자열` // 백틱

불리언 타입

불리언 타입은 값은 값의 논리와 참, 거짓을 나타내는 true와 false뿐이다.

undefined타입

undefined타입의 값은 undefined가 유일하다.

null타입

null타입의 값은 null이 유일하다.
null은 변수에 값이 없다는 것을 의도적으로 명시할때 사용하며 함수가 유효한 값을 반환할 수 없는 경우 명시적으로 null값을 반환하기도 한다.

<!DOCTYPE html>
<html>
<body><script>
  var element = document.querySelector('.myclass');
  // html문서에 myClass 클래스를 갖는 요소가없다면 null을 반환한다.
  console.log(element); //null</script>
</body>
</html>

심볼타입

심볼은 변경 불가능한 원시 타입의 값이며, 다른 값과 중복되지 않는 유일무이한 값이다. 따라서 심볼값은 충돌 위험이 없는 오브젝트의 유일한 프로퍼티 키를 만들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const symbol1 = Symbol('symbol') 
const symbol2 = Symbol('symbol')

console.log(symbol1 === symbol2) // false

객체타입이란?

자바스크립트는 객체기반언어이며 자바스크립트를 이루고 있는 거의 모든 것이 객체이다.
원시형 값을 제외한 나머지값(함수, 객체, 배열 등)은 모두 객체이다.

원시형 값은 단하나의 값만을 나타내지만 객체형은 다향안 값을 하나의 단위로 구성한 복잡한 자료구조이다.
또한 원시형의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immutable value)이지만 객체형의 값은 변경 가능한 값(mutable value)이다.

객체는 나중에 자세히 포스팅할 예정이다.

잘못된 정보에 대해서는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