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2410?language=python3
간단한 구현문제로써 파이썬으로 풀 시 내장 함수들만 잘 이용하면 쉽게 풀어낼 수 있었다. 단계별로 정리해보자면 아래와 같다.
1단계 new_id의 모든 대문자를 대응되는 소문자로 치환합니다.
파이썬의 내장 함수인 문자열.lower()를 사용하여 대문자를 소문자로 치환하였다.
2단계 newid에서 알파벳 소문자, 숫자, 빼기(-), 밑줄(), 마침표(.)를 제외한 모든 문자를 제거합니다.
알파벳 소문자는 '문자열.islower()', 숫자는 '문자열.isdigit()'으로 비교하게 하였고 '_','-','.'은 리스트에 넣고 비교하게 하였다.
3단계 new_id에서 마침표(.)가 2번 이상 연속된 부분을 하나의 마침표(.)로 치환합니다.
replace 함수를 사용하여 '..'가 문자열에 없어질 때까지 계속 '..'을 '.'로 바꾸게 하였다.
4단계 new_id에서 마침표(.)가 처음이나 끝에 위치한다면 제거합니다.
strip('.')를 사용하여 맨 앞과 뒤에서 마침표를 모두 지웠다.(strip 메소드 특성상 맨 앞(혹은 뒤)부터 비교하여 연속적으로 나열된 인자에 넣어진 값이 없어질 때까지 모두 지우기 때문에 편하다)
5단계 new_id가 빈 문자열이라면, new_id에 "a"를 대입합니다.
단순하게 if문으로 처리하였다.
6단계 new_id의 길이가 16자 이상이면, new_id의 첫 15개의 문자를 제외한 나머지 문자들을 모두 제거합니다.
만약 제거 후 마침표(.)가 new_id의 끝에 위치한다면 끝에 위치한 마침표(.) 문자를 제거합니다.
len 메소드로 길이 비교후 [:] 슬라이싱을 사용하여 문자열을 끊었다.
7단계 new_id의 길이가 2자 이하라면, new_id의 마지막 문자를 new_id의 길이가 3이 될 때까지 반복해서 끝에 붙입니다.
이 역시 길이를 if문으로 비교후 마지막 문자를 '문자열[-1]'로 꺼낸 후 계속 붙여 주었다.
# 대문자 -> 소문자
def first(new_id):
return new_id.lower()
# 허용된 문자만 뽑아내기
def second(new_id):
sc = ['-', '_', '.']
str_temp = ''
for char in new_id[:]:
if char.islower() or char.isdigit() or char in sc:
str_temp += char
return str_temp
# 마침표 2개 이상 -> 1개로
def third(new_id):
while '..' in new_id:
new_id = new_id.replace("..", ".")
return new_id
# 맨 앞 뒤 마침표 삭제
def fourth(new_id):
return new_id.strip('.')
# 빈 문자열인 경우 'a' 추가
def fifth(new_id):
if not new_id:
return 'a'
else:
return new_id
# 문자열 길이가 16자 이상시 끊기
def sixth(new_id):
if len(new_id) >= 16:
return new_id[:15].strip('.')
else:
return new_id
# 길이가 2자 이하시, 마지막 문자를 길이가 3자가 될 떄까지 뒤에 붙이기
def seventh(new_id):
while len(new_id) <= 2:
new_id += new_id[-1]
return new_id
def solution(new_id):
answer = ''
new_id = first(new_id)
new_id = second(new_id)
new_id = third(new_id)
new_id = fourth(new_id)
new_id = fifth(new_id)
new_id = sixth(new_id)
new_id = seventh(new_id)
answer = new_id
return answer
js에서는 python와 달리 이런 내장함수가 없어 정규식으로 푸는 것이 속시원하다.
1단계 new_id의 모든 대문자를 대응되는 소문자로 치환합니다.
JS에서도 대문자를 소문자로 치환하는 내장함수인 toLowerCase()가 존재
2단계 newid에서 알파벳 소문자, 숫자, 빼기(-), 밑줄(), 마침표
정규식에서 []안에 ^는 not의 의미이고 \w는 _, 문자, 숫자를 의미한다. 따라서 '/[^\w-.]/g'를 빈문자열로 바꾸면 해결할 수 있다.
(g는 전역으로 비교될 문자열의 해당하는 모든 문자열을 가져오는 것을 의미. 만약 g가 없으면 맨 처음으로 조건에 부합하는 문자만 가져온다)
3단계 new_id에서 마침표(.)가 2번 이상 연속된 부분을 하나의 마침표(.)로 치환합니다.
'/.+/g'를 '.'로 바꾸는 로직을 넣는다. (정규식에서 +는 + 이전 문자가 1개 이상 연속되는 문자를 모두 잡게 한다)
4단계 new_id에서 마침표(.)가 처음이나 끝에 위치한다면 제거합니다.
'/^.|.$/'를 사용하면 맨 앞의 마침표와 맨 뒤의 마침표를 빈문자열로 바꿀 수 있다. 이미 위에서 마침표가 연속되는 것을 모두 없애버렸기 때문에 한번만 실행해도 된다.
5단계 new_id가 빈 문자열이라면, new_id에 "a"를 대입합니다.
정규식에서 '/^$/' 빈 문자열을 의미하므로 해당 정규식을 'a'로 치환하는 로직을 넣는다.
6단계 new_id의 길이가 16자 이상이면, new_id의 첫 15개의 문자를 제외한 나머지 문자들을 모두 제거합니다.
만약 제거 후 마침표(.)가 new_id의 끝에 위치한다면 끝에 위치한 마침표(.) 문자를 제거합니다.
이는 python과 마찬가지로 slice() 인 슬라이싱 메소드를 사용하여 15개의 문자를 가져온 후 위에서 사용하였던 맨 앞, 맨 뒤 마침표 제거 로직을 넣는다.
7단계 new_id의 길이가 2자 이하라면, new_id의 마지막 문자를 new_id의 길이가 3이 될 때까지 반복해서 끝에 붙입니다.
이 기능은 JS의 padEnd라는 메소드를 사용하여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
첫 번째 인자는 목표 개수, 두 번째 인자는 붙일 문자열을 의미한다.
function solution(new_id) {
const answer = new_id
.toLowerCase()
.replace(/[^\w-.]/g,"")
.replace(/\.+/g,".")
.replace(/^\.|\.$/, "")
.replace(/^$/,"a")
.slice(0,15).replace(/\.$/, "");
return answer.padEnd(3, answer[answer.length-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