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ommand-line Application 파일 입출력 기능 구현
- Memory에 저장하는 Voucher 정보를 File에 저장하여 불러오기 기능 구현
2. Spring properties
-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 key-value 형식으로 저장
- @Value Annotation으로 변수의 값을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 @Value("${키:초기값}") 형태로 application.properties의 값을 가져와서 변수에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 YAML
- 마크업 중심이 아닌 데이터 중심의 언어
- Properties 클래스에 @ConfigurationProperties를 통해서 그룹화하여 properties 관리 가능
1. Spring profile, Resource 개념 학습
2. Spring logging, Spring boot 개념 학습
3. Command-line Application 기능 구현
- 고객 블랙리스트 구현
- YAML property 사용하기
- MemoryVoucherRepository 방식만 개발 profile에서 동작하게 하기
- 로그 기록하기 + 로그백 설정으로 에러를 기록하기
-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으로 변경
- 실행가능한 jar 파일 생성
3. 디자인 패턴 2개 조사하기(3일 늦춰짐!!! 우선 순위가 밀리고 있음...)
- 적응자 패턴 구현하기
- 감시자 패턴 개념 파악하기/구현하기
어제 공부에 집중을 못해서 시간을 날렸습니다. TIL로 내가 한일을 작성하다 보니 어제 못 쓴게 스스로 부끄러워서 정신차리고 하는 곳까지 공부를 진행했습니다. 예전 같으면 한번 집중 못하면 며칠 쉬어버릴 수도 있는데 이렇게 TIL을 쓰면서 매일 어떤 일이 있어도 쓰면 내가 오늘 한일로 자신을 돌아보고 발전할 수 있는 양분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오늘 Spring 공부는 못한 것까지 생각하면 내일 할일에 작성한 로그 관련 개념도 학습해야 했지만 내가 오늘 할 수 있는만큼의 공부를 했습니다. 지금 공부에만 집중할 수 있는 충분한 여건이 되는 동안에 오늘 한일이 공백으로 작성되지 않도록 매일 공부하는 습관이 더욱 몸에 익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