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업로드하고자 하는 파일 혹은 폴더가 존재하는 폴더로 이동한다.
✔️ 로컬 저장소로 지정하고 싶은 폴더로 이동하는 것이다!
✔️ 나는 주로 업로드하고자 하는 폴더나 파일의 상위 폴더에서 터미널을 킨다.
📍 git init
✔️ 터미널을 킨 후 거기에 git init을 작성하여 해당 폴더를 git 로컬저장소로 설정한다.
git init
git status
ls
👉🏻 만약, 연결되어 있는 원격저장소가 있는데 이 저장소가 아닌 다른 저장소를 연결하고 싶다면 먼저 기존에 연결되어 있는 저장소를 다음 명령으로 삭제한다.
git remote remove origin
git add --all
git add .
git add -u // 하나 이전의 스테이지와만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만 add한다.
git add -A // 새로 만든 상태나 삭제, 수정 등 모든 변경된 파일을 add 한다.
git commit -m "Initial commit"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id/레포지토리명
git push origin master
git push origin 브랜치명 // 브랜치에 push한다.
ls : 해당 폴더 내 파일목록이나 폴더목록을 볼 수 있다.
git status : 수정된 내역이 있는지 등 파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git remote -v : 현재 연결된 저장소가 있나 확인한다. 아무것도 없으면 그냥 터미널 다음 줄로 이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