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 solution(strings, n):
strings.sort()
return sorted(strings, key=lambda x: x[n])
처음에는 아랫 줄만 사용했는데, 처음 놓여진 순서에서 2번째 문자 기준으로만 정렬이 되어서, 정렬을 하고, 문제에서 주어진 index 를 기준으로 다시 정렬을 했다.
def solution(a, b):
answer = 0
if a == b: return a
if a > b:
a, b = b, a
for i in range(a, b+1):
answer += i
return answer
def solution(arr, divisor):
answer = []
for a in arr:
if a % divisor == 0:
answer.append(a)
# 이런 조건들 자꾸 빼먹는다...
# 자료구조에서도 이런 예외 조건 처리가 계속 잊어버리게 되던데 ㅠㅠ...
if len(answer) == 0:
answer.append(-1)
answer.sort()
return answer
def solution(arr):
answer = [-1]
for a in arr:
if answer[-1] != a:
answer.append(a)
return answer[1:]
answer 가 비어있을 때 조건 처리하기가 귀찮아서 입력에 들어가지 않는 수를 하나 넣고 시작한 뒤, 결과에서 첫번째 숫자를 뺐다.
근데 입력 자연수래서 처음에 0 넣고 시작했다가 다 틀려서 뭐지 했더니 0도 들어가는 거였다...... 허무
def solution(s):
return s[int((len(s) - 1) / 2) : int(len(s) / 2) + 1]
처음에 짝수일 때는 두글자 가져오는거 모르고 s[int(len(s) / 2)]
로 했다가 안돼서 당황했다.
def solution(price, money, count):
return sum([(i + 1) * price for i in range(count)]) - money
와 처음에 바보처럼 i 써야하는 자리에 count 쓰고 외않되..? 이러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