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수구하기
- 소수는 자신보다 작은 2개의 자연수를 곱해 만들 수 없는 1보다 큰 자연수를 말한다.
- 이와 같은 의미로 1과 자기 자신 외의 약수가 존재하지 않는 수를 말하기도 한다.
- 코딩 테스트에서는 이러한 소수를 판별하는 방식을 묻는 소수 구하기 문제가 종종 출제된다.
소수 구하기의 핵심 이론
- 소수를 구하는 대표적인 판별법으로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들 수 있다.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원리
- 구하고자 하는 소수의 범위만큼 1차원 배열을 생성한다.
- 2부터 시작하고 현재 숫자가 지워지지 않을 때는 현재 선택된 숫자의 배수에 해당하는 수를 배열에서 끝까지 탐색하면서 지운다. 이 때, 처음으로 선택된 숫자는 지우지 않는다.(소수니까)
- 배열의 끝까지 2를 반복한 후 배열에서 남아 있는 모든 수를 출력한다.


오일러 피
- 오일러 피 함수 P[N]의 정의는 1부터 N까지 범위에서 N과 서로서인 자연수의 개수를 뜻한다.
- 서로소는 공약수가 1외에 없는 수
오일러 피의 핵심 이론
- 오일러 피 함수의 원리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와 비슷하다.
🌸 오일러 피 함수의 원리
- 구하고자 하는 오일러 피의 범위만큼 배열을 자기 자신의 인덱스값으로 초기화한다.
- 2부터 시작해 현재 배열의 값과 인덱스가 같으면(=소수일 때) 현재 선택된 숫자(K)의 배수에 해당하는 수를 배열의 끝까지 탐색하며 P[i] = P[i] - P[i]/K 연산을 수행한다(i는 K의 배수).
- 배열의 끝까지 2를 반복하여 오일러 피 함수를 완성한다.
오일러 피 함수의 원리 이해하기




유클리드 호제법
- 유클리드 호제법은 두 수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유클리드 호제법의 핵심 이론
- 유클리드 호제법을 수행하려면 먼저 MOD 연산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 MOD 연산이 최대 공약수를 구하는 핵심 연산이다.

- MOD 연산을 이해하면 다음과 같이 3단계로 유클리드 호제법을 구현할 수 있다.
🌸 MOD 연산으로 구현하는 유클리드 호제법
- 큰 수를 작은 수로 나누는 MOD 연산을 수행한다.
- 앞 단계에서의 작은 수와 MOD 연산 결괏값(나머지)으로 MOD 연산을 수행한다.
- 단계2를 반복하다가 나머지가 0이 되는 순간의 작은 수를 최대 공약수로 선택한다.
유클리드 호제법의 원리 이해하기
ex) 270과 192의 최대 공약수 구하기

출처 - 하루코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