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 기간으로 바쁜 팀원들을 위해 유일하게 시험을 안보는 내가 AutoDroid를 구현할 수 있는 간단한 가이드를 작성해보려고 한다. 기말고사 화이팅!!👏
AutoDroid를 구현하기 위해, 먼저 개발 환경을 구축했다.
Android 개발은 처음이라, Android Studio 설치부터 천천히 시작했다! (Visual Studio Code는 설치되어있음)
❗️메모리를 정말 많이 차지하니까 꼭 메모리 정리하고 진행하자❗️
설치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Flutter 설치
2. Android Studio 설치
3. Virtual Device 생성
4. Flutter와 VS code 연동
5. Flutter와 Android Studio 연동
Flutter Android apps on macOS

Android Studio Bumblebee | 2021.1.1 Patch 3

Android 11.0, Pixel 2, API 30






Commend 창(MacOS 기준: command + shift + P)에서 Flutter: Run Flutter Docter 누르기

설치가 필요한 목록들이 나옴 ([ x ] 표시되어있음)
(ex. Xcode, Android toolchain 등)

설치 가이드 를 보면서 하나씩 설치하면 됨
[ x ] Android toolchain 일 경우,
$ flutter doctor --android-licenses
flutter doctor --android-licenses 입력 시 Linkage Error 나는 경우, < 이 사이트 참고하기! >
- '오류: 기본 클래스 com.android.sdklib.tool.sdkmanager.SdkManagerCli을(를) 로드하는 중 LinkageError가 발생했습니다.'
- 오류 해결되고, 다시 Flutter: Run Flutter Docter 하면 이렇게 바뀜!
[ x ] Xcode 일 경우,
Xcode 다운로드
$ sudo xcode-select --switch /Applications/Xcode.app/Contents/Developer
$ sudo xcodebuild -runFirstLaunch
$ brew install cocoapods
Unable to get list of installed Simulator runtimes.가 뜨는 경우, < 이 사이트 참고하기! >
[ x ] Flutter 일 경우,
~/Users/[User name]/flutter/bin )
만약 바꿔도 [ x ] Flutter가 뜰 경우,
- flutter, bart 버전 확인
- 버전 확인이 될 경우, 전원을 껐다가 다시 재부팅하면 해결됨!
- 버전 확인이 안될 경우, 이 사이트 참고 하기!
issue를 모두 해결하고 나면, 드디어! 완료!! 👍

Flutter: Run Flutter Doctor : Flutter 실행 Flutter: New Project : New project 생성Flutter: Launch Emulator : Android Studio에서 생성해둔 Virtual Device 띄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