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 취업 게임은 시작되었다
1.1.2. 나는 전 세계를 마주할 수 있는 비즈니스를 하고 싶었다
1.1.3. 나는 막내였다
1.1.4. 개발을 배워보기롤 했다
1.2.1. 커리큘럼대로 안 하더라
1.2.2.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준다
1.2.3. 창업을 해 보고 싶었는데
1.2.4. 속닥속닥
1.3.1. 선생님은 정말 중요하다
1.3.2. 6개월은 정말 금방 지나간다
1.3.3. 정보처리기사가 되다
1.3.4. 안드로이드 앱 포트폴리오를 만들다
1.4.1. 취업하기 시작하는 사람들
1.4.2. 다시 취준생으로
1.4.3. 개발자로 일하기 시작하다
1.4.4. 스타트업은 천국이기만 할까?
1.5.1. 그럼에도 스타트업에서 일하고 싶다면
1.5.2. 스타트업과 투자 규모
1.5.3. 스톡옵션
1.5.4. 좋은 스타트업이란
1.5.5. 이건 꼭 확인하자
1.6.1. 구하는 자에게 복이 있나니
1.6.2. 아이폰 앱 개발 공부를 시작하다
1.6.3. 기회가 찾아왔다
1.6.4.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서는 미리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1.7.1. 자동화 대표주자 프로그래밍
1.7.2. 인문학도 개발자의 강점
1.7.3. 새로운 시작을 앞두고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한 조언
1.8.1. 내 생각을 현실로
1.8.2. 지금은 디지털 세계
1.8.3. 가장 빠른 미래가 내 손에
1.9.1. 기본적인 영어 능력
1.9.2. 꾸준히 공부하고 스스로 탐구하는 사람
1.9.3. 독립적이고 문제 해결 능력이 좋은 사람
1.9.4. 의사소통 능력이 뛰어난 사람
1.9.5. 이런 사람에게는 권하지 않는다
1.10.1. 일을 잘게 쪼개라
1.10.2. 투입되는 시간을 파악하라
1.10.3. 계획하고 소통하라
1.10.4. 효과적으로 집중하라
2.1.1. 서버 개발
2.1.2. 클라이언트 개발
2.1.3. 시스템 관리
2.1.4. 네트워크와 보안
2.1.5. 운영체제
2.1.6. 빅데이터
2.1.7. 게임
2.1.8. 그외
2.2.1. 자바(Java)
2.2.2.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2.2.3. 파이썬(Python)
2.2.4. 루비(Ruby)
2.2.5. 오브젝티브-C(Objective-C)
2.2.6. 스위프트(Swift)
2.2.7. 최근에 나온 언어들은 느리다?
2.3.1. 개발 기술은 계속 발전하고 있다
2.3.2. 한 가지 기술로 모든 것을 개발할 수 있다
2.3.3. 이론에만 집중하는 교육용 자료들
2.3.4. 그래서 어떻게 배우라고요?
2.4.1. 파일 복사 붙여넣기?
2.4.2. 서버에 몰빵
2.4.3. 각자의 컴퓨터에 분산해서
2.4.4. 개발자 업무의 투명성
2.4.5. 오픈소스 시대의 도래
2.5.1. 백엔드와 프런트엔드, 그리고 풀스택?
2.5.2. HTML, CSS & 자바스크립트, 웹 페이지를 꾸미자
2.5.3.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자가 입력하는 데이터를 처리하자
2.5.4. 데이터베이스와 SQL, 내 정보는 소중하니까 지켜 주자
2.5.5. 시스템, 이제 서비스를 배포해 보자
2.5.6. 프로그래밍은 발전하고 있다
2.5.7. 마무리하면서
2.6.1. 왜 갑자기 데브옵스일까?
2.6.2. 데브옵스의 역할
2.6.3. 최고의 몸값 데브옵스, 미래는?
2.7.1. 데이터 분석가(Data Analyst)
2.7.2. 데이터 과학자(Data Scientist)
2.7.3. 데이터 엔지니어(Data Engineer)
2.7.4. 데이터 관련 직군의 미래
2.8.1. 정말 알고리즘을 배워야 하는가?
2.8.2. 면접을 준비한다면
2.8.3. 알고리즘을 배울 수 있는 사이트
2.8.4. 머신러닝과 딥러닝 시대의 알고리즘
2.9.1. 애자일 이전
2.9.2. 애자일의 철학
2.9.3. 스프린트(Sprint)
2.9.4. 스크럼(Scrum)
2.9.5. 칸반(Kanban)
2.9.6. 시스템을 넘어 다시 문화로
3.1.1. 취업은 더 이상 문제가 아니다
3.1.2. 창업도 할 수 있다
3.1.3. 외국에 나가서 살기에 가장 좋은 직업이다
3.1.4. 믿기지 않는 이야기, 원격 근무
3.1.5. 내 업무 시간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3.2.1. 책을 찾아보고 싶다고요?
3.2.2. 동영상을 찾아보자
3.2.3. 학교 교육의 깊은 영향
3.2.4. 새로운 시대, 새로운 공부 방법
3.3.1. 문제 해결 능력
3.3.2. 혼자서 공부할 수 있는 능력
3.3.3. 원리에 대한 집착
3.3.4. 그외
3.4.1. 학원, 전우를 만나는 시간
3.4.2. 본격 동영상 강의 입문
3.4.3. 기술적인 깊이가 필요할 땐
3.4.4. 기초부터 다지겠다는 허상
3.5.1. 처음에는 목차 중심으로
3.5.2. 꼭 책이 필요할 때
3.5.3. 나는 책을 이렇게 활용한다
3.6.1. 왜 오픈소스에 참여하면 좋은가?
3.6.2. 오픈소스에 참여하는 방법
3.7.1. 영어와 공부
3.7.2. 개발 커뮤니티
3.7.3. 해외 취업
3.7.4. 이렇게 영어 공부를 할 것인가?
3.7.5. 그 외 다른 외국어들
3.7.6. 개발자 그리고 외국어
3.8.1. 회사 설득하기
3.8.2. 딴짓 해도 되는 회사들
3.8.3. 주도하는 개발자의 삶이 즐겁다
3.9.1. 개발자의 친구 구글(Google)신
3.9.2. 질문할 땐 현재 개발 환경을 함께 공유
3.9.3.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떤 해결책을 써 봤는지 알려 주자
3.9.4. 문제가 해결되면 해결책을 정리해서 알리자
3.9.5. 좋은 사수란 없다
4.1.1. 왜 회사에 다녀야 할까?
4.1.2. 개발자로 갈 수 있는 회사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4.2.1. 국내 취업
4.2.2. 프리랜서
4.2.3. 해외 취업
4.2.4. 원격 근무
4.3.1. 개발자와 대화할 수 있는 개발자
4.3.2. 본인이 기술적으로 책임질 수 있다면
4.3.3. 기술 트랜드
4.3.4. 개발자 출신 사업가가 더 배울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