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노바

한백년·2024년 11월 8일
0

개발자

목록 보기
5/17

◎ 노프팀장이 말한다

○ 2024

4. 요즘 신입개발자 안뽑는 실력 외적인 이유

  • 한 곳에서 오래있지 않는다. 이기적이다. 월급 받는 만큼도 하지 않으면서 남탓을 한다.
  • 사장이 리스크를 감당하는 것을 생각하지 않고 근로자는 피해자라고 여긴다.
  • 성장은 본인이 하는 것이지 회사가 해주는 것이 아니다.
  • 정규직이 일을 하지 못하면 해고할 수 있어야 한다. 법이 이를 막고 있다.
  • 신입은 피해의식을 갖지 말아야 한다. 조건이 맞아 이직을 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 스스로 사업자라면 어떤 개발자가 끌릴지 고민해야 한다. 회사가 문제라는 패러다임은 위험하다.

3. 요즘 개발자 취업시장과 삶의방향에 대한 여러가지 생각들

  • 많은 문제를 푸는 방식으로 코딩테스트에만 집중하는 것은 위험하다. 고정된 유형에 사고가 멈춰버린다.
  • 고객의 니즈에 맞춰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 내가 돈을 받고 일하는 곳이 더 냉정하게 사람을 판단하고 실리를 추구한다.
  • 기업이 경력자를 선호하는 것은 코딩문제를 잘 풀어서가 아니라 그들의 실전 경험을 높이 사기 때문이다.
  • T의 세계, 실력자들의 세계.
  • 협업할 때 외골수와는 대화가 되지 않는다.
  • 설계, 관리, 방향성 설정은 긴밀한 소통이 되는 개발자가 필요하다.

2. 개발자가 변화하기 힘든 이유

  • 인간은 주변상황에 영향을 매우 많이 받는다. 주변의 저항을 이겨내기 힘들다.
  • 변화하는 것을 웬만하면 받아들이는 것이 좋다. 왜 변화가 생겼는지 질문한다.

1. 노력해도 안되는 개발자라면 (이것이 문제)

  •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이 필요하다. 자아성찰 능력이 부족하다면 피드백을 받으면서 연습해야 한다.
  • 무엇이 부족하지를 고민한다.

◎ 팀노바풍경

○ 2022

1. 팀노바 코딩교육하면서 학생들이 힘들어 하는 포인트

  • 초보자로서 겸손한 자세가 필요하다.
  • 단점을 조명하고 고쳐나가게 만든다. 졸업 이후 단점을 고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차이는 크다.
  • 개발자의 능력은 구조 그리는 능력, 기억력, 계산능력, 커뮤니케이션, 창의력, 검토능력으로 구분한다. 검토 능력 중요하다.
  • 내가 당연히 잘 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면 곤란하다.
  • 개발을 직접 해보고 이론을 찾아야 한다.
  • 복습이 진짜 공부이다.
  • 한국인의 선동 또는 감성기반 정서로 인한, 예상치 못한 상황 때문에 힘들다. 심지어 나르시시즘이 심하다.
  • 우리나라 중위소득은 250만원이다.
  • 위기가 오더라도 잘하는 개발자는 단단하다. 개발자는 건축가와 달리 혼자서 무수히 만들고 부술 수 있다. 의문을 가지며 다양한 감각을 키워야 한다.

◎ 노프팀장의 Q&A

○ 2025

6. 자료구조는 C언어로? 스타트업은 node.js가 유리하죠?

  • 대기업은 자바 베이스로 개발한다.
  • FastCGI
  • nginx는 10만명 이상의 동시접속자가 있을 때 효과적이다.
  • 자바를 권한다.
  • 하나의 언어를 고집하기보다 다양한 언어를 배우는 것이 필요하다. 패러다임을 이해해야 한다.

3. C가 쉬운 사람 Python이 쉬운사람

  • C는 외골수 성향으로 자세한 것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좋아한다. 과정을 하나하나 모두 알아야 한다면 상대적으로 C가 편한다. 다만 숲보다는 나무를 본다.
  • 일반인에게는 파이썬를 선호한다. 숲을 볼 수 있다.
  • 코드의 재사용성이 좋으나 일정을 맞추지 못하고 만들어야 할 목표에 대해 에너지 분산이 잘 되지 않는 사람이 있는 반면, 일정을 잘 맞추지만 코드의 재사용성이 엉망인 코드를 만드는 사람이 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