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확장프로그램인 Web Developer를 사용하면 CSS를 모두 제거한 웹사이트를 볼 수 있다.
※ 위의 사진은 웹사이트에 스타일을 적용하기 전 모습이다.
선택자 { 속성1: 속성값1;
속성2: 속성값2;
}
추가 팁) CSS 소스에 주석을 넣거나 줄 바꿈하는 것은 웹사이트 작성자가 알라보기 쉽도록 하는 것일 뿐 브라우저에는 전혀 연관이 없다.
하지만 CSS 소스는 네트워크를 이용해 파일로 내려받으므로 되도록이면 파일 크기가 작은 것이 좋다. 그래서 CSS 소스가 길면 주석이나 줄 바꿈, 공백 등을 제거하고 꼭 필요한 정보만 남겨서 파일을 작게 만들어 사용하게 되는데, 그 방법을 CSS 소스 경량화(minify)라고 한다.
인터넷에서 css minify 또는 css compress를 검색하면 CSS 소스 파일의 크기를 줄여주는 다양한 툴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저렇게 만들어진 코드는 왠만해선 알아볼 수 없으므로 지금과 같이 CSS를 공부하는 동안에는 절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p /p 태그는 태그(tag) 자체를 말하는 것이고 태그를 포함해 p 태그를 적용한 "문장이 있는 부분" 을 p 요소라고 합니다. 그렇기에 p 태그를 적용한 스타일이라는 표현은 태그 자체를 적용하는 스타일이 아니므로 틀린 말이고, p 안에 속한 요소(element)에 적용하는 스타일로 표현하는 것이 옳다.
전체 선택자(universal selector)는 말 그대로 스타일을 문서의 모든 요소에 적용할때 사용한다.
* { 속성: 값; }타입 선택자(type selector)는 특정 태그를 사용한 모든 요소에 스타일을 적용한다.
태그명 { 스타일 규칙 }class 선택자는 문서에서 여러 번 적용할 수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상품 소개 페이지</title> <style> p { font-style: italic; /* 이탤릭체 */ } .accent { border:1px solid #000; /* 테두리 */ padding:5px; /* 테두리와 내용 사이의 여백 */ } .bg { background-color:#ddd; /* 배경색 */ } </style> </head> <body> <div> <h1 class="accent bg">레드향</h1> <p>껍질에 붉은 빛이 돌아 <span class="accent">레드향</span>이라 불린다.</p> <p>레드향은 한라봉과 귤을 교배한 것으로 일반 귤보다 2~3배 크고, 과육이 붉고 통통하다.</p> <p>비타민 C와 비타민 P가 풍부해 혈액순환, 감기예방 등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p> </div> </body> </html> | cs |
위의 예시를 보면 h1요소가 accent와 bg 클래스를 모두 사용하고 있는데, 테두리, 여백, 그리고 배경색까지 모두 적용된걸 보여준다.
id 선택자는 문서에서 딱 한 번만 적용할 수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상품 소개 페이지</title> <style> #container { width:500px; /* 너비 */ margin:10px auto; /* 바깥 여백 */ padding:10px; /* 테두리와 내용 사이 여백 */ border:1px solid #000; /* 테두리 */ } </style> </head> <body> <div id="container"> <h1>레드향</h1> <p>껍질에 붉은 빛이 돌아 레드향이라 불린다.</p> <p>레드향은 한라봉과 귤을 교배한 것으로 일반 귤보다 2~3배 크고, 과육이 붉고 통통하다.</p> <p>비타민 C와 비타민 P가 풍부해 혈액순환, 감기예방 등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p> </div> </body> </html> | c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