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줄로 된 간단한 에디터를 구현하려고 한다. 이 편집기는 영어 소문자만을 기록할 수 있는 편집기로, 최대 600,000글자까지 입력할 수 있다.
이 편집기에는 '커서'라는 것이 있는데, 커서는 문장의 맨 앞(첫 번째 문자의 왼쪽), 문장의 맨 뒤(마지막 문자의 오른쪽), 또는 문장 중간 임의의 곳(모든 연속된 두 문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길이가 L인 문자열이 현재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으면, 커서가 위치할 수 있는 곳은 L+1가지 경우가 있다.
이 편집기가 지원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L |
커서를 왼쪽으로 한 칸 옮김 (커서가 문장의 맨 앞이면 무시됨) |
D |
커서를 오른쪽으로 한 칸 옮김 (커서가 문장의 맨 뒤이면 무시됨) |
B |
커서 왼쪽에 있는 문자를 삭제함 (커서가 문장의 맨 앞이면 무시됨) 삭제로 인해 커서는 한 칸 왼쪽으로 이동한 것처럼 나타나지만, 실제로 커서의 오른쪽에 있던 문자는 그대로임 |
P $ |
$ 라는 문자를 커서 왼쪽에 추가함 |
초기에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이 주어지고, 그 이후 입력한 명령어가 차례로 주어졌을 때, 모든 명령어를 수행하고 난 후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명령어가 수행되기 전에 커서는 문장의 맨 뒤에 위치하고 있다고 한다.
첫째 줄에는 초기에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이 주어진다. 이 문자열은 길이가 N이고, 영어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는 100,000을 넘지 않는다. 둘째 줄에는 입력할 명령어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M(1 ≤ M ≤ 500,000)이 주어진다. 셋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 입력할 명령어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명령어는 위의 네 가지 중 하나의 형태로만 주어진다.
첫째 줄에 모든 명령어를 수행하고 난 후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을 출력한다.
abcd
3
P x
L
P y
abcdyx
import sys
class Node:
def __init__(self,data):
self.prev = None
self.node = data
self.next = None
class LinkedList:
def __init__(self):
self.first_node = Node(None)
self.now_node = self.first_node
def push(self,data):
new_node = Node(data)
self.now_node.next = new_node
new_node.prev = self.now_node
self.now_node = new_node
def l(self):
if self.now_node.prev:
self.now_node = self.now_node.prev
def d(self):
if self.now_node.next:
self.now_node = self.now_node.next
def b(self):
if self.now_node.prev:
self.now_node.prev.next = self.now_node.next
if self.now_node.next:
self.now_node.next.prev = self.now_node.prev
self.now_node = self.now_node.prev
def p(self,data):
new_node = Node(data)
new_node.prev = self.now_node
new_node.next = self.now_node.next
if self.now_node.next:
self.now_node.next.prev = new_node
self.now_node.next = new_node
self.now_node = new_node
def answer(self):
while self.first_node.next:
print(self.first_node.next.node,end="")
self.first_node = self.first_node.next
def main():
input = sys.stdin.readline
new_linked_list = LinkedList()
for char in input().strip():
new_linked_list.push(char)
for test_case in range(int(input())):
command = input().split()
match command[0]:
case 'L':
new_linked_list.l()
case 'D':
new_linked_list.d()
case 'B':
new_linked_list.b()
case 'P':
new_linked_list.p(command[1])
new_linked_list.answer()
if __name__ == "__main__":
main()
연결 리스트를 직접 구현해보고 싶었음. 예시를 보며 설계를 이어갔지만, prev와 next에서 놓치는 부분이 많았음. 그리고 연결리스트 전체 출력과정에서 너무 1차원적으로 구상하긴 함.
Python의 경우, deque 두 개를 사용하여 커서를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에 문자를 저장하는 것이 best.
b 메서드 경계 조건 : 더미 헤드만 존재할 때, 삭제 시도하면 예기치 않은 동작 발생 할 수 있음. 조건문으로 오류를 방지하지만, 모든 경계 조건에서 명확한 동작이 정의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가독성 개선 : Node class에서 self.node 대신 self.data 권장. first_node가 아닌 header로 권장
answer 메서드 변경 권장 : first_node 변경이 아닌 모든 데이터를 리스트에 수집한 후 한번에 출력하는게 효율적
print 함수
- 호출 될 때 마다 시스템 콜을 발생시켜 비교적 느린편
- 내부적으로 버퍼링을 하지만, 대량의 데이터일 경우 부정적 영향 줄 수 있음.
- python의 list는 메모리 효율성이 높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 증가는 신경쓸 필요 없음(백만 문자당 약 50MB)
- 메모리제한이 매우 엄격하거나 문자 수가 극단적으로 많은 경우 제외하고는 print는 최소화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main():
input = sys.stdin.readline
initial_string = input().rstrip()
left_stack = deque(initial_string)
right_stack = deque()
try:
num_commands = int(input())
except ValueError:
num_commands = 0
for _ in range(num_commands):
command = input().rstrip().split()
if not command:
continue
action = command[0]
if action == 'L':
if left_stack:
right_stack.appendleft(left_stack.pop())
elif action == 'D':
if right_stack:
left_stack.append(right_stack.popleft())
elif action == 'B':
if left_stack:
left_stack.pop()
elif action == 'P':
if len(command) > 1:
left_stack.append(command[1])
# 최종 문자열 출력
print(''.join(left_stack) + ''.join(right_stack))
if __name__ == "__main__":
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