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소체계

Benedictus Park·2022년 12월 15일
0

TCP/IP

목록 보기
3/11
post-thumbnail

1. 인터넷 주소

인터넷 주소 체계는 두 종류로 나뉜다.

  •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
  •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각각 주소정보를 4Byte, 16Byte 크기로 나타낸다.

IPv6의 경우 2010년경 IPv4 방식 IP 주소가 모두 고갈될 것에 대비하여 등장한 표준인데, 아직도 IPv4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2. 클래스

IPv4는 A, B, C, D, E 클래스로 구분된다.

  • 클래스 A: 1Byte -> Network ID | 3Byte -> Host ID
  • 클래스 A: 2Byte -> Network ID | 2Byte -> Host ID
  • 클래스 A: 3Byte -> Network ID | 1Byte -> Host ID
  • 클래스 A: 4Byte -> Network ID

E 클래스는 예약되어 있는 주소체계이므로 생략한다.

3. 포트

일반적으로 한 대의 PC에는 하나의 IP주소가 할당된다. 그렇다면, 한 컴퓨터에서 두 개의 소켓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다시 말해 여러 프로그램이 동시에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는 없어 보인다. IP주소만 가지고 네트워크를 통해 들어온 데이터를 어떤 소프트웨어로 전달해야 할지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

그러나!!!

우리에겐 NIC(Network Interface Controller)가 제공하는 '포트번호'가 있다.

'인터넷 주소'는 IP로만 이뤄진 것이 아니라, IP와 포트번호로 이루어진다. IP는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의 위치를 나타내고, 포트는 어떤 소프트웨어(혹은 어떤 소켓)로 데이터를 전달해야 하는지를 나타낸다. 그래서 한 대의 컴퓨터에 하나의 아이피만 할당이 되어 있더라도 소켓들이 각각 다른 포트를 Bind 받아 여러 소프트웨어가 동시에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 IP 주소는 컴퓨터에 할당되어, 컴퓨터의 위치를 나타낸다.
  • 포트 번호는 각 소켓에 할당되어, 데이터를 수신할 소켓을 구분한다.

4. 주소를 찾아가는 과정

  1. 네트워크 ID에 해당하는 네트워크를 찾아간다.
  2. 호스트 ID에 해당하는 컴퓨터를 찾는다.
  3. 포트번호에 해당하는 소켓에 데이터가 전달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