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이 낮은 순서로 학생 출력하기

Chori·2024년 10월 19일
1
post-thumbnail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을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문제 내용

  • N명의 학생 정보가 있음
  • 학생 정보는 학생의 이름과 학생의 성적으로 구분됨
  • 각 학생의 이름과 성적 정보가 주어졌을 때 성적이 낮은 순서대로 학생의 이름을 출력하는 프로그램 작성

입력 조건

  • 첫 번째 줄에 학생의 수 N이 입력됨 (1N100,000)(1 \le N \le 100,000)
  • 두 번째 줄부터 N + 1번째 줄에는 학생의 이름을 나타내는 문자열 A와 학생의 성적을 나타내는 정수 B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됨
  • 문자열 A의 길이와 학생의 성적은 100 이하의 자연수

출력 조건

  • 모든 학생의 이름을 성적이 낮은 순서대로 출력
  • 성적이 동일한 학생들의 순서는 자유롭게 출력

입력 예시

2
홍길동 95
이순신 77

출력 예시

이순신 홍길동

문제 해설

  • 학생의 정보가 최대 100,000개까지 입력될 수 있으므로 최악의 경우 O(NlogN)O(NlogN)을 보장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거나 O(N)O(N)을 보장하는 계수 정렬을 이용
  • 그리고 입력되는 데이터는 학생의 이름과 점수지만 출력할 때는 학생의 이름만 출력하면 되므로 학생 정보를 (점수, 이름)으로 묶은 뒤에 점수를 기준으로 정렬 수행
  • 파이썬의 기본 정렬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

소스 코드

# N을 입력받기
n = int(input())

# N명의 학생 정보를 입력받아 리스트에 저장
array = []
for i in range(n):
    input_data = input().split()
    # 이름은 문자열 그대로, 정수는 정수형으로 변환하여 저장
    array.append((input_data[0], int(input_data[1])))

# 키(key)를 이용하여, 정수를 기준으로 정렬
array = sorted(array, key=lambda student: student[1])

# 정렬이 수행된 결과를 출력
for student in array:
    print(student[0], end=' ')

나의 풀이

  • 학생 이름과 점수를 하나의 리스트로 묶음
  • 리스트의 sort() 메서드를 사용하여 정렬
  • 학생의 점수로 정렬할 때 점수에 대한 데이터 타입이 문자열이므로 int()를 사용하여 정수로 변환

소스 코드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rstrip())
students = [sys.stdin.readline().rstrip().split() for _ in range(n)]

students.sort(key=lambda x: int(x[1]))

for student in students:
    print(student[0], end=' ')
profile
전부인 것처럼, 전부가 아닌 것처럼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