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1068] 트리

GOHU·2023년 2월 28일
0

Algorithm

목록 보기
14/15

백준 #1068

문제

트리에서 리프 노드란, 자식의 개수가 0인 노드를 말한다.

트리가 주어졌을 때, 노드 하나를 지울 것이다. 그 때, 남은 트리에서 리프 노드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노드를 지우면 그 노드와 노드의 모든 자손이 트리에서 제거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트리가 있다고 하자.

현재 리프 노드의 개수는 3개이다. (초록색 색칠된 노드) 이때, 1번을 지우면, 다음과 같이 변한다. 검정색으로 색칠된 노드가 트리에서 제거된 노드이다.

이제 리프 노드의 개수는 1개이다.

입출력

>>> 노드의 개수 (n)
>>> 0번~(n-1)번 노드까지의 부모 노드들 (parents)
>>> 지울 노드 (deleted_node)
deleted_node를 지운 트리의 리프 노드 개수

ex
1

>>> 5
>>> -1 0 0 1 1
>>> 2
2

2

>>> 5
>>> -1 0 0 1 1
>>> 1
1

3

>>> 5
>>> -1 0 0 1 1
>>> 0
0

4

>>> 9
>>> -1 0 0 2 2 4 4 6 6
>>> 4
2

풀이

DFS방식으로 탐색하여 parent node로 deleted_node를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하면 parent를 None으로 바꾸고, None으로 바꾼 Node를 parent node로 가지고 있으면 그 Node도 None으로 바꾸는 것을 반복하여 Node 제거 작업을 했다.
그 후 deleted_node가 아닌 Node를 모두 탐색하여 Parent로서 존재하지 않는 노드의 갯수를 세어 출력했다.

예제 4번으로 예를 들겠다.
예제 4번은

이런 형태로 구성된다. 먼저 주어진 4번을 제거해보자

그리고 4번을 Parent로 가지고 있는 5번, 6번 Node를 제거하자.

5번을 Parent로 가지고 있는 Node는 없으니 6번 Node를 Parent로 가지고 있는 7번, 8번 Node를 제거하자

7, 8번 Node를 Parent로서 가지고 있는 Node는 없으니 DFS를 종료한다.

그럼 이제 리프 노드를 탐색하도록 하자.
먼저 0번 노드를 Parent로 가지고 있는 Node는 1번, 2번이 있으므로 리프 노드가 아니다.
1번 노드를 Parent로 가지고 있는 Node는 없으므로 리프 노드다. (ans+=1)
2번 노드를 Parent로 가지고 있는 Node는 3번 노드가 있으므로 리프 노드가 아니다.
3번 노드를 Parent로 가지고 있는 Node는 없으므로 리프 노드다. (ans+=1)
4~8번 노드는 모두 제거 되었으므로 건너뛴다.

따라서 리프노드는 1번과 3번, 2개이다.


소스코드

Python

n = int(input())
parent=list(map(int, input().split(' ')))

#parent의 element 중 deleted_node가 있으면 제거, 이를 반복하는 함수
def removeNode(deleted_node, parent): #dfs방식으로 제거
    parent[deleted_node]=None #노드 제거
    for i in range(len(parent)):
        if parent[i]==deleted_node:
            removeNode(i, parent)

removeNode(int(input()), parent)

ans=0
for i in range(len(parent)):
    if parent[i]==None:
        continue
    if i not in parent:
        ans+=1
print(ans)
profile
develop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