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1

임정혁·2023년 8월 5일
1

리눅스

목록 보기
1/5

운영체제 (Operating system)

  • 장치를 사람이 쓰기 쉽게 만들어주는 역할

운영체제의 종류

  • 사용 장치

    • desktop OS : windows / MAC OS / Linux

    • workstation OS : Unix / Linux / windows server

  • 사용 환경

    • CLI : Command Line Interface

      명령줄을 이용한 환경 (CUI / TUI) 화면에 글자만 보임

    • GUI : Graphic User Interface

      그래픽을 이용한 환경

Linux 특징

  • 오픈소스 운영체제

  • 다양한 회사에서 소스를 가져다가 Linux 운영체제를 만들어냄

    • Linux는 계열과 종류가 다양함
  • Unix 기반의 대표적인 운영체제

운영체제 사용 방식

single booting mode

  • 하나의 장치에 하나의 운영체제만 설치

  • 부티 시 boot loader 가 설치된 운영체제 바로 부팅

multi booting mode

  • 하나의 장치에 여러개의 운영체제를 설치

  • 부팅 시 boot loader가 설치된 운영체제 중 사용자가 선택한 운영체제로 부팅

  • 운영체제 간 자료 취급 방법 등의 각종 호환성 문제로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 방식

virtual booting mode

  • 가상의 컴퓨터를 만들어서 별도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사용

  • 실제 컴퓨토는 single booting mode 를 사용

    • 가상화 환경을 제공하는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상 컴퓨터를 만들고 가상 컴퓨터 내부에 별도의 운영체제를 설치하여 사용
  • 가상 컴퓨터는 별도의 파일로 저장

    • 복사나 백업 등의 관리작업이 굉장히 쉬워짐

가상화 환경 프로그램

virtual box

  • oracle 제품

  • 무료로 사용

  • 인터페이스가 불편하게 구성

    • 메뉴들이 숨겨져 있는 경우가 있음

    • a기능의 설정을 하기 위해 b 기능의 설정을 제어하는 경우도 존재

VMware workstation

  • VMware 회사 제품 ( VMware : Virtual Machine software)

  • 여러가지 제품군이 존재

    • workstation player

      • 개인 사용시 무료

      • pro의 거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

    • workstation pro

      • 유료

      • 모든 메뉴를 사용할 수 있음

실습

새 가상컴퓨터 만들기

Vmware workstation에서 create a New Virtual Machine

커스텀으로 설치 진행

가장 높은 버전 사용

나중에 설치하기로 진행

Linux와 Ubuntu 64bit 선택

가상머신의 이름과 가상머신이 저장될 파일의 경로 설정

CPU의 수와 코어의 수를 선택 한 후 진행

RAM 용량 선택

네트워크 타입 선택

입출력 장치 선택

디스크 타입 선택

가상 디스크 선택

디스크 용량을 40GB로 늘림

디스크의 일부분을 램 처럼 사용할 것이기 때문

가상머신의 디스크 파일이름 확인

가상머신의 세부 사항 점검 후 진행

가상 컴퓨터 생성 완료

edit virtual machine setting 클릭

CD / DVD 항목에서 다운받은 iso 파일 경로 입력

필요없는 장치들 제거 후 진행

Linux 설치

power on 버튼 클릭

  • host 환경 -> guest 환경 : guest 화면 클릭

  • guest 환경 -> host 환경 : ctrl + alt

try ot install ubuntu 항목 선택 후 진행

try ubuntu 로 진입

(진입 모습)

settings 진입 후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1920 * 1080 으로 설정

install Ubuntu 더블클릭

한국어 설정 후 계속하기

키보드 레이아웃 - korean으로 진행

변경 없이 계속하기

기타로 진행

새 파티션 테이블 후 남은공간 클릭 후 + 버튼

크기를 500mb 설정 후 용도를 EFI 시스템 파티션 설정

용량이 가장 큰 남은 공간에서 + 버튼 클릭 후 크기와 마운트 위치 지정


다시 남은 공간에 크기와 스왑영역을 지정

  • 스왑영역 : 가상 메모리, 디스크를 램 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줌

다시 + 버튼 후 크기는 기본값 유지 한 채 마운트 위치는 / 로 지정

(해당 과정 끝 모습)

지금 설치 누른 후 계속하기로 진행


지금 다시 시작하기

엔터 누르고 로그인 화면 진입

Linux 설치 완료

기본 프롬프트 구성

root@localhost:~#

  • root : 사용자명 / 어느 사용자로 로그인 했는지 표시

  • localhost : 장치명 / 현재 어느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지 표시

  • ~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

    • 디렉토리 : CLI 환경에서 사용하는 폴더
  • # : 사용 권한 ( # : 관리자 권한 / $ : 일반 사용자 권한)

profile
개인 공부용 / 포트폴리오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8월 5일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