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TO(Data Transfer Object)는 계층 간 데이터 전달을 위한 객체로, 로직을 포함하지 않고 데이터를 담는 역할만 한다.1\. 관심사 분리 Entity는 DB와 직접 연결된 도메인 객체DTO는 그와 별개로 프레젠테이션 계층(Controller, View)
toEntity()와 from() 둘다 Entity ↔ Dto 변환에서 자주 사용하는 메서드이다.Dto로 변환하느냐, Entity로 변환하느냐에 따라 toEntity()를 사용할지, from()을 사용할지가 나뉜다.toEntity() → DTO를 Entity로 변환f

이전까지는 JSON데이터 자체를 JAVA에서 출력하는 것을 했는데, API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JSON데이터를 파싱하여 내가 원하는 형태로 JPA에 저장해보도록 하겠다.우선 Entity를 구현해 보도록 하겠다. API에서 제공하는 필드들은 여러가지지만 내가 원하

📌API는 보통 JSON 또는 XML형태로 제공하기 때문에 활용하려면 API데이터를 파싱하여 JAVA데이터로 받아야한다.내가 원하는 대로 사용하기 위해 차근차근 API를 JSON형태로 JAVA로 가져오고, 그걸 파싱하고 마지막으로 JPA를 이용하여 DB에 저장해 보도

개인프로젝트에서 공공데이터 API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가져올 일이 생겼다.특정시의 구와 동을 가져오고 싶어서, 행정동 데이터를 검색하기 시작했다.공공 데이터 포털(https://www.data.go.kr/index.do)에서 다양한 OPEN API를 찾아볼 수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RequiredArgsConstructor 는 Lombok에서 제공하는 생성자 자동 생성 어노테이션이다. 각 어노테이션의 차이점을 알아보겠다.기본 생성자(파라미터가 없는 생성자)를 자동 생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