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D (Domain Driven Design)

요한·2025년 7월 10일
0

다른 개발자 분들과 많은 대화를 하면서 DDD 란 개념이 나왔다 차후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DDD 내용을 정리를 하면 좋을거 같다고 하셔서 급히 DDD를 유튜브에 검색해서 kakao tech에 이한승(sherlock.hs)님 께서 영상에 나와 설명을 해주셨다. 영상 기반으로 개념 정리하고 코드로 한번 녹여 내보겠습니다!

영상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4QHvTeeTsj0


DDD

Domain 주도 설계

Domain 이란?

많은 분들의 영상을 참고해서

문제의 영역들을 그 도메인을 사용하는 비지니스 로직중심으로 설계

  1. 도메인의 모델과 로직에 집중
  2. Ubiquitous Language, 보편적 언어 사용
  • 팀 내부에 사업,기획팀,개발팀,디자이너 등 단일화 된 커뮤니케이션 방식
  1. Software Entity 와 domain 간 개념일치
  • 분석 모델과 설계가 다르고 그것과 코드가 다른 구조가 아니고 코드와 도메인이 함께 움직이는것을 지향한다.

Why DDD ?

DDD 적용에 필요했던 것들

Bounded Context

  • 범위를 구별해 놓은 도메인 개념

Context Map

  • Bounded Context의 관계를 보여줌

Aggregate

  • 데이터 변경 단위

흠.. 개념을 알겠는데 코드로 적용을 해야 정확하게 알거 같아서 코드로 작성하겠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profile
코드 깍는 개발자 kangyohan.dev.0421@gmail.com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