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INX(“엔진 엑스”)는 HTTP 웹 서버이자, 리버스 프록시, 콘텐츠 캐시, 로드 밸런서, TCP/UDP 프록시 서버, 그리고 메일 프록시 서버
만든 사람은 아르고 시쇼이브? 라고 나와 있네요
리버스 프록시·로드밸런서·캐시 서버로 동작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클라이언트가 웹 정적 파일(html,css,js,이미지)을 응답 해주는 역활
요청마다 스레드를 새로 만드는 게 아니라, 이벤트 루프(Event Loop) 하나가 수천~수만 개 요청을 동시에 관리한다.
논블로킹 I/O 기반 → 한 요청이 파일 읽기/네트워크 응답을 기다리는 동안 다른 요청도 병렬로 처리 가능하다,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서 내부 애플리케이션 서버(SPRING, Node.js 등) 로 전달하고, 응답을 다시 사용자에게 반환함
도메인 접근하면 -> ip로 접근한다 이걸 nginx 받아 서버에 전달한다 해서 보안에서 이점을 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기술 스택이 여러가지인 경우 서버를 여러개 놔야할때가 있다. 이런경우 nginx 하나의 도메인으로 여러가지 서버를 통합할수있다.
자주 요청되는 정적 자원이나 응답 결과를 캐시에 저장해 두었다가, 다시 요청이 오면 원본 서버로 가지 않고 캐시된 데이터를 바로 제공한다.
서버 부하가 적어짐
속도 향상
클라이언트에 요청이 많을 경우 서버를 분산해서 서버가 죽는걸 방지한다.
간단히 말해, SSL은 구버전, TLS는 그 업그레이드된 최신 버전이며, HTTPS는 이를 기반으로 한 보안 통신 방식입니다.
만약 HTTP만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메시지가 평문(암호화되지 않은 원본 데이터) 으로 전달되어 보안에 취약합니다.
반면 HTTPS를 사용하면 데이터가 암호화된 상태로 전송되므로 도청이나 변조를 방지할 수 있어 훨씬 안전합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