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폴더 권한 설정 (chmod / chown)

요한·2025년 8월 24일
0

사건의 시작....

룰루랄라 이제 방화벽도 해결했고 서버도 잘 올라가고 postman으로도 요청이 잘 올라가네 이러고 저장을 할려고했는데 .. Post로 저장하는걸 요청했는데 오류가 떠서 후다닥 프로젝트 폴더 들어가서 tail -f app.log 로 내가 실행 한 내용보는데 허가 불가가 뜬다... ㅠㅠ

조금 찾아보니 프로젝트가 이미지를 저장할려는데 opt 아래 디렉토토리는 쓰기 권한이 root계정만 권한 만 접근가능하다고 하네요 ... 이것도 모르고 설정 먼저 안하고 후다닥 log 부터 확인


초긍정 마인드..

뭐 이참에 리눅스 명령어도 더 공부하고 조금 더 알아서 리눅스 마스터 때 편하게 시험보면되겠죵!

리눅스 디렉토리

사진 출처
https://jinwoo1990.github.io/dev-wiki/linux-directory/

/bin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binaries 디렉토리로 이전 파일로 기본적인 명령어가 저장되는 디렉토리이다. 우리 사용하는 명령어가 /bin 디렉토리에 저장되어 있다

/sbin

system + bin 디렉토리로 이것 또한 bin 폴더 랑 별개로 시스템과 관련된 명령어어가 저장되어있다.

/home

우리가 접속을 하게 되면 사용자 별로 계정이 있을 것이다. 그러면 /home/guestA, /home/guestB 안에 개별 폴더를 사용해서 권한을 설정해
서 접속하고 작업하는게 원칙이다

/tmp

임시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디렉토리, 재부팅시 삭제되며정기적을 10일 정도 간격으로 삭제된다.

/lib

라이브러리 디렉토리로 OS 커널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파일, 커널 모듈이등이 존재한다.

/usr

사용자 들이 사용하는 디렉토리이다.이러면 /home/geust 랑 뭔차이인가 ? 하면 접속 하는 모든 사용자들이 사용가능한 폴더 이다 특정 사용자랑은 조금 다른 특성이다.

/var

var 기타 모든 다용도로 사용 할 수 있으면 웹 서버 이미지 등을 사용가능하다. 전역으로 사용가능하다.

다른 글들 많이 찾아보니까 var 에 이미지를 저장하더라고요 ㅎㅎ;; 작성자는 이글 작성하다가 properties 내용변경하고 var 하위 디렉토리를 만들었다는 사실..

권한 변경

소유권 vs 파일 권한

소유권 (chage+owner)

chown [옵션] [새로운소유자][:새로운그룹] 대상파일/디렉토리
sudo chown yohan app.log 
#app.log 를 소유자를 yohan으로 변경 

파일 권한 (chage+mode)

chmod [옵션] [권한] 대상
chmod rw------- ~/Desktop/rsa_id 
# 이거는 aws 썻을때 .pem 키 받았을때 봤던거 같네요 ㅎㅎ

대상

u: user 소유자
g: group 그룹
o: others 기타 사용자
a: all 전체 (u+g+o)

연산자

+: 권한 추가
-: 권한 제거
=: 권한 지정

권한

r: read 읽기
w: write 쓰기
x: execute 실행

예시

chmod u+x /tomcat/bin/start.sh
# user 에게 tomcat/bin 폴더에 start.sh 스크립트 실행 권한 줌
profile
코드 깍는 개발자 kangyohan.dev.0421@gmail.com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