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트캠프에서 처음으로 java수업을 받고 있기에 기록하는게 좋다고 생각했고, 수업이 있는 날이면 매일 글을 쓰려고 합니다. 쵀대한 몰랐거나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 위주로 기록할 예정입니다. (제가 게을러서 이러한 시도를 성공한 적이 없기에 이번 부트캠프 목표 중 1가지입니다. 할 수 있도록 화이팅!!)
리터럴(literal)은 프로그래밍 코드에서 직접 값을 표현하는 방식
(하드 코딩이라고 불렀는데 명칭이 따로 존재하는지 몰랐다.)
int num = 100; // 정수 리터럴 (100)
double pi = 3.14; // 실수 리터럴 (3.14)
char letter = 'A'; // 문자 리터럴 ('A')
String text = "Hello"; // 문자열 리터럴 ("Hello")
// 정수 타입
byte b = 127; // 1바이트 크기의 정수
short s = 32000; // 2바이트 정수
int i = 1000000; // 4바이트 정수
long l = 10000000000L; // 8바이트 정수 (L을 붙여야 함, 까먹고 있었음...)
// 실수 타입
float f = 3.14f; // 4바이트 실수 (f 필요, 애도 까먹고 있었음...)
double d = 3.14159265358979; // 8바이트 실수 (기본 실수 타입)
// 문자형
char c1 = 'A';
char c2 = '한';
char c3 = '\uAC00'; // 유니코드로 표현 ('가'에 해당)
오버플로우(Overflow)는 변수가 저장할 수 있는 최대값을 초과할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즉, 변수의 값이 데이터 타입이 표현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면 값이 순환되어 엉뚱한 값이 저장되기에 오버플로우를 예측하고 더 큰 자료형으로 결과값을 받아서 처리해야 합니다. (작은 자료형에서 큰 자료형으로 갈 때는 자동으로 변경됨)
int a = 1000000;
int b = 2000000;
long result = (long) a *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