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액트는 SPA이고, index.html을 두고 router를 이용하여 관련된 내용을 갈아끼는 방식이다. 따라서, 위와 같이 특정 페이지로 이동을 하게 되면 s3가 해당 경로의 버킷에서 example.com/login에 맞는 객체(html)을 찾기 시작하는데, 해당 파일은 없기 때문에 404에러가 발생하는 것 이다.
s3가 어떠한 상황(어떠한 특정 페이지로 이동)이건 index.html를 보이게 설정해주면 된다.
react-melmet package를 이용하여 메타태그를 각각의 페이지에 맞게 넣어준다. 그리고나서 검색로봇이 해당 메타태그를 미리 읽어갈 수 있도록 pre-rendering 처리를 해주거나 서버사이트 렌더링처리를 해주면 된다.
react-thunk는 리덕스에서 비동기 작업을 처리 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미들웨어이다. thunk를 사용하면 액션 객체를 dispatch하는게 아닌 함수를 dispatch 할 수 있다. 이렇게하면 dispatch, getState, 혹은 내가 직접 설정한 값을 받아 사용할 수 있다.
const, let을 선언 할 때, 선언 > 초기화 > 할당 단계를 거친다. 런타임(코드를 위에서 부터 아래로 한 줄 한 줄 실행하는 것) 이전에 선언되어 메모리에 자리를 차지하지만 초기화 단계가 아직 실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변수(상수)에 접근 할 수는 없는 상태를 말한다.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