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4065
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tuple)이라고 합니다.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튜플(n-tuple)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a1, a2, a3, ..., an)이 주어질 때(단, a1, a2, ..., an은 자연수),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 '}'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튜플이 (2, 1, 3, 4)인 경우 이는
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때,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
는 모두 같은 튜플 (2, 1, 3, 4)를 나타냅니다.
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function solution(s) {
let answer = [];
let map = new Map();
var arr = s.slice(2,s.length-2).replaceAll('},{',',').split(",").map(Number);
for(let i = 0; i < arr.length; i++){
map.set(arr[i],(map.get(arr[i])||0)+1);
}
const mapSort = new Map([...map.entries()].sort((a, b) => b[1] - a[1]));
for(let keys of mapSort.keys()){
answer.push(keys);
}
return answer;
}
처음에 이중배열로 만들어서 배열안에 있는 원소의 갯수가 적은 것 부터 중복제거를 해서 answer 배열에 넣으려고 했는데.. 너무 로직이 복잡해져서 이게 아닌가?? 싶었다.
중복제거도 어떻게 해야 할 지 감도 안잡혔음..
질문하기를 보니까 hash를 사용하라고 나와있어서 참고했다.
나는 정규표현식 잘 모르기 때문에
튜플 맨 앞과 뒤의 '{{', '}}'를 제거하고 s.slice(2,s.length-2)
중간의 '},{'를 ','로 치환해서 중괄호를 다 제거한 다음에 .replaceAll('},{',',')
숫자배열로 바꿨다. .split(",").map(Number)
그러면 [1,2,3,2,1,1,2,4,3,2]
이렇게 숫자만 남는다!
그리고 map의 key를 배열의 원소로 넣고, 중복될 때 마다 value를 1씩 증가시켜줬다.
map.set(arr[i], (map.get(arr[i]) || 0) + 1);
그리고 map에 value가 클수록 해당 원소가 많이 들어가있다는 뜻이니까 이걸 내림차순으로 정렬해준다.
new Map([...map.entries()].sort((a, b) => b[1] - a[1]))
{{1,2,3},{2,1},{1,2,4,3},{2}} 를 보면
2가 4개, 1이 3개, 3이 2개, 4가 1개이므로 결과 값이 [2,1,3,4]인 걸 알 수 있음.
아무튼 value로 정렬한 걸 key만 뽑아서 배열로 만들어서 리턴해줬다.
const tupleFrom = (str) =>
str.slice(2, -2).split('},{')
.map((it) => toNumbers(it))
.sort(accendingByLength)
.reduce((acc, cur) =>
[...acc, ...cur.filter((it) => !acc.includes(it))], []);
const toNumbers = (str) => str.split(',').map(it => Number(it));
const accendingByLength = (arr1, arr2) => arr1.length - arr2.length;
const solution = (s) => tupleFrom(s);
홀리몰리..
reduce를 쓰는 방법이 있군
const accendingByLength = (arr1, arr2) => arr1.length - arr2.length;
요건 배열 길이가 짧은 순서로 정렬한다는 뜻인가봄
ex) [[3], [2,3], [4,2,3], [2,3,4,1]]
.reduce((acc, cur) =>
[...acc, ...cur.filter((it) => !acc.includes(it))], []);
요건...
초기값이 빈배열이고,,
처음에 [3], 그다음에 [2,3]에서 2가 filter되서 [3,2] ... 이렇게 가는건가?
reduce 어렵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