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905(화) Prisma Migration

박지은·2023년 9월 5일
0

TIL

목록 보기
18/36

level 2과제를 하면서 prisma를 사용할 때, migration으로 변경된 데이터를 저장해야 좋다는 내용을 들었다.

기존에 강의에서는 아래와 같은 코드를 사용했다.

npx prisma db push

Prisma Migration이 뭔지 간단하게 정리하고 가기

Prisma Migration

👉 prisma 공식 doc 바로가기

마이그레이션은 손쉽게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하고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며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버전 컨트롤과 같은 역할을 한다. 마이그레이션은 보통 라벨의 스키마 빌더와 쌍을 이루어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손쉽게 만들 수 있다.

설명은 장황하지만 쉽게 생각하면 수동으로 테이블을 수정,삭제,생성 하는게 아니고 migration을 생성 후 적용 하면 손쉽게 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할 수 있다.

출처 : ji-hyun

✅ migration을 쓰면서 느낀 가장 큰 장점
버전관리를 할 수 있다는 점!!
버전마다 어떤식으로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방법

  1. prisma를 설치하고 prisma/shcema.prisma 파일에서 모델을 정의한다. (테이블들 생성)
  • Migrate 과정을 통해 MySQL에 실제 DB의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1. 이제 이걸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공유하기 위해서 migration을 해준다.
    migration 최초 생성!!
npx prisma migrate dev

이 뒤에 어떤 폴더명을 할지 작성한다.

  1. 만약에 스키마 모델을 수정하게 되었으면, 변경한 사항을 저장하고 위와 같은 명령어를 반복한다.

데이터베이스에 바로 변경한 내용을 바꾸는 명령어보다는 migration을 사용하는게 좋은게 버전 변경을 확인해 수정이 가능한 점인 것 같다.

profile
성장하는뿅아리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