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이란, 컴퓨터에게 실행을 요구하는 커뮤니케이션이다.프로그래밍 이전에 해결해야 할 문제를 명확하게 이해한 후, 문제 해결 방안을 정의해야 한다.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제 해결 능력이 필요하며, 문제 해결 방안을 제대로 정의하기 위해서는 컴퓨팅 사고가 필요하다
값(value) : 식(표현식)을 평가하여 생성된 결과모든 값은 데이터타입을 가지며 메모리에 2진수(bit)로 저장이 된다.같은 값이여도 데이터 타입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ex. 0100 0001(2진수) → A(character))변수는 값을 저장하기 위
'함수를 호출할 때' 함수 실행 컨텍스트가 생성된다. 생성된 함수 실행 컨텍스트는 실행 컨텍스트 스택(콜 스택)에 푸시되며 함수의 실행이 종료될 때 스택에서 팝된다. 실행 컨텍스트 스택에 함수 실행 컨텍스트가 푸시된다는 것은 결국 '함수의 실행'을 의미한다.만약 위와
컴퓨터는 CPU를 사용하여 연산하고, 메모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억(저장)한다.메모리 :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셀의 집합체메모리 셀 하나의 크기는 1byte(8bit)컴퓨터는 메모리 셀의 크기를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읽어들이며 각 셀은 고유의 메모리
에러에 대처하지 않으면 프로그램이 강제 종료되기 때문에 try … catch 문을 사용해서 에러에 적절하게 대응해야 한다.직접적으로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는 예외적인 상황에 경우에 있어서도 적절하게 대처하지 않으면 에러로 이어질 수 있다.ex) querySelector에
모듈 :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개별적 요소로서 재사용 가능한 코드 조각모듈은 기능을 기준으로 파일 단위로 분리한다.모듈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자신 만의 파일 스코프를 가져야 한다.자신만의 파일 스코프를 갖는 모듈의 자산은 기본적으로 캡슐화되어 다른 모듈에서 접근할 수